기본분류

‘이병철 골프세계 알면 삼성경영 이념 보인다’

[kjtimes=정병철 대기자]이병철 회장의 골프세계를 알면 삼성의 경영이념을 알 수 있다. 삼성이 추구하는 ‘제일주의’와 ‘무한추구’ 정신은 이병철 회장의 기업정신과 그 뜻이 같다고 볼 수 있다.

 

‘골프는 인생의 축소판이다’ 이 회장은 라운딩을 할 때마다 동행한 측근들에게 이 말을 좌우명처럼 들려주었다.

 

골프장 18홀 파노라마에서 이병철 회장은 삼성의 기업 정신을 키워왔다. 이 회장은 격동의 30년 동안 기업이 성공과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동안 한국 최대의 제력을 쌓고 거대한 기업군을 이루는 밑바탕에는 골프가 있었다.

 

그는 골프를 통해 재력가의 고독을 이겨왔다. 그가 틈만나면 골프장을 찾고 골프를 통해 신규 사업을 구상하고 거대한 기업군으로 키워온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이 회장은 30년 동안 주중 같은 시간에 어김없이 골프장 코스를 돌았다. 이 회장이 골프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기업정신은 그의 골프플레이에서도 엿 볼 수 있다.

 

이 회장은 골프에서 퍼팅과 아이언을 주무기로 삼았다. 골프에서 드라이버를 잘치는 사람은 십중팔구 공격적인 성격의 소유자다. 이 같은 형은 대부분 기업에서도 공격적 경영을 펼친다.

 

반면 아이언샷과 퍼팅을 잘하는 사람은 성격이 정교 하다는 게 골퍼들의 이구동성이다. 국내 프로 중 한 때 ‘아이언샷의 대명사’ 박남신과 ‘퍼팅 귀재’ 최상호의 성격이 섬세하고 정교한 것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골프전문가들은 아이언과 퍼팅이 정교한 사람은 매사 신중론자라 한다. 이를 볼 때 이병철 회장은 드라이버형 보다 아이언과 퍼팅을 잘 치는 성격에 가깝기 때문에 사업에서도 완전 무결하고 깨끗한 것을 좋아했다.

 

이 회장은 골프에서 절대 ‘OK'(상대방 퍼팅을 인정)나 ’기브‘(퍼팅을 인정 점수를 줌)는 없다. 설령 10cm 퍼팅이라도 꼭 마무리를 짓고 다음 홀로 이동한다.

 

그는 사업에서도 대충이라는 것은 없다. 잘못된 것은 그 원인을 찾고 분석한다. 골프에서도 샷과 퍼팅이 생각처럼 되지 않으면 그 이유를 반드시 찾아낸다.

 

그는 스윙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일일이 비디오카메라에 담아 분석을 했다. 그래서 다음 라운딩에서 교정한 스윙으로 좋은 스코어를 올린다. 재계에서는 그런 이 회장을 분석가고 노력하는 골퍼로 인정 하는데 인색하지 않았다.

 

이병철 회장의 섬세한 인간미는 많은 화제를 뿌렸다. 그는 골프채에서 전 용품을 이르기까지 신제품이 선보이면 동료들에게 나눠줬다. 제계에선 이 회장으로 부터 골프용품 하나 선물 받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남에게 주기를 좋아했다.

 

재계 동료들과 라운딩 시 클럽에 이상이 있으면 스스로 클럽을 점검해 다른 채를 골라주는 등 자상하기 그지없다. 또 사업차 일본에 자주 가는 이 회장은 골프신간 서적이 새로 발간되면 이를 가져와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는 등 골프책까지 신경을 써주는 섬세한 총수였다.<계속>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