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인사이드

송옥주 의원, ‘미래세대 3법’ 대표 발의

피선거권 19세 연령 하향, 정당가입 연령 폐지, 미래세대(비유권자) 정당교육

[kjtimes=견재수 기자] 선출직 출마 연령이 낮아지고 정당가입 연령이 폐지되는 등 이른바 미래세대 3이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비례대표/환경노동위원회)은 현행 피선거연령을 선거연령인 만19세와 동일하게 하향조정하고 19세 정당가입 연령 폐지, 비유권자를 상대로 정당 정치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미래세대 3을 지난 17일 대표 발의 했다.
 
국제의원연맹(IPU) 자료에 따르면 OECD 34개국 중 14개 국가에서 피선거 연령과 선거 연령이 일치하지 않는다. 14개 나라 중에서도 피선거 연령이 25세인 국가는 5개 국가(미국, 한국, 일본, 이탈리아, 터키) 뿐이다.
 
현재 공직선거법상 투표 연령은 만19세이지만 출마 할 수 있는 나이는 만25(대통령 만40). 이 같은 연령 제한은 1947년 법 제정 당시 결정됐으며, 그 후로 조정된 적이 한 차례도 없다. 연령 불일치 배경 또는 근거 자료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정당가입 연령 제한(19세 이상)도 문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3215일 선거권 연령 하향 검토와 동시에 정당법 제22조에 규정된 정당가입 연령을 선거권 연령과 분리해 선거권 연령보다 더 낮출 것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정치권을 비롯한 기성세대의 관심사가 아니다보니 정당가입도 여전히 비유권자인 미래세대는 정당가입도 자유롭지 못하다.
 
송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당 가입의 연령 제한을 법으로 규정한 나라는 없다. 다만, 정당 자율에 따라 당헌, 당규에 입각해 가입 연령을 제한하고 있다.
 
이 같은 현실 때문에 정치교육이나 시민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독일의 경우 주요 정당들이 정치재단을 중심으로 청소년을 포함한 시민정치교육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도 시민단체 주도로 선거권이 없는 미성년자(5~18)가 대통령선거에 성인처럼 모의 투표를 한다. 선거기간에는 후보자의 자질과 선거공약 등을 조사하거나 발표해 미래 유권자들에 대한 정치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과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서 학생들이 보여준 자발적 시위 참여와 성숙된 비판의식은 향후 미래세대도 민주시민이자 사회구성원으로서 충분히 동참할 수 있다는 면모를 보여준 계기가 됐다.
 
그러나 법과 제도가 뒷받침이 되지 않아 비유권자인 학생들의 정치 참여를 가로막고 있다는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에 발의된 법안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취지가 담겨있다.
 
송 의원이 대표 발의한 미래세대 3법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착된다면 보다 성숙한 정치 선진국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다.
 
송 의원은 발의 취지에 대해 미래세대의 참정권 확대는 비유권자인 학생만을 위한 것이 아닌 민주사회를 성숙시키는 기반이란 생각을 갖고 있다, “미래세대의 올바른 비판의식과 정치참여 기회를 선진국처럼 보장해 합리적인 민주시민을 길러내는데 주저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라이프] "실업자 탈출시대 왔나" 22년 만에 최대 증가
[KJtimes=김지아 기자] 대전시에 거주하고 있는 박씨. 박씨는 어머니와 함께 운영하고 있던 분식집이 코로나19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언론을 통해 '확진자 동선'에 거론되면서 문을 닫았다. 단골이던 주민 한명이 코로나에 확진, 초창기 이름 바 '몇번째 확진자'에 이름이 올랐던 것. 분식집 이름이 정확히 공개되진 않았지만 대전시에서 방역차가 몇번 왔다가고 내부소독 등 절차를 밟자, 자연스럽게 손님이 끊어졌다. 박씨는 당분간이란 생각으로 분식집을 휴업했고, 이후 가게 월세를 내지 못해 가게를 내놓았다. 졸지에 실업자가 된 박씨가 다시 취업에 성공한 것은 최근이다. 소상공인 창업 지원을 비롯해 다양한 교육과 지원을 받기도 했지만 박씨의 적성에 맞는 일을 다시 시작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취직을 하기에도 애매한 박씨의 나이는 40대 중반. 하지만 지역 C물류센터에 취직한 선배의 소개로 다시 취직에 성공했다. 한달여의 견습 기간을 마치고 계약직이지만 취업에 성공한 박씨. 긴 시간 백수로 지내왔던 터라 가족들의 눈치까지 봐야했던 박씨는 이제서야 얼굴이 환해졌다. ◆이직·퇴직·휴직 등 '인고의 시간'을 몰고왔던 코로나19 코로나19가 휩씁고 지나간 자리에는

[관전포인트]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주목할 나라는 ‘이곳’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중동-지중해-유럽 라인에서 주목할만한 나라는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UAE 등이다. 현재 이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모멘텀으로 해서 자국의 에너지 역량을 개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스라엘은 지난 2004년 텔아비브 인근 지중해 해역에서 가스전 개발에 성공한 후 다수의 초대형 가스전 개발에 계속 성공하고 있다. 개발한 천연가스의 그리스·이태리 등 유럽판매 추진은 미국의 훼방으로 불발됐지만 중동전 상대였던 이집트·요르단과 장기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게다가 터키에도 수출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중동 공백을 에너지로 조금씩 메우는 모양새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틈타 유럽에 판매를 추진 중이다. 독일 등에 LNG터미널을 건설하면 소량이나마 이스라엘산 천연가스가 공급될 예상이다. 사우디는 최근 탈 이슬람원리주의 정책의 점진적 도입을 통해 비아랍권에 이미지 개선을 추진 중인 것과 탈 화석연료자원 움직임이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탈 이슬람원리주의를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하는 것이 국가적 인재개발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고 석유고갈 등에 대비해 관광자원 개발과 수소 관련 산업을 육성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급증하는 환경 분쟁] 호주 원주민 잇단 소송…바로사 가스전 'ESG 리스크'에 발목
[KJtimes=정소영 기자] SK E&S의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을 놓고 호주 현지에서 지역 원주민이 소송을 제기했다. 호주 환경단체 노던 준주 환경센터(ECNT)에 따르면 사업지 인근 티위(Tiwi) 제도의 므누피(Munupi) 지역 원주민이 지난 3월 있었던 바로사 가스전 사업의 시추 허가에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호주 규제 당국에 지난 7일 가처분 신청을 냈다. 므누피는 한국 법원에 국내 공적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가처분 신청을 냈던 원주민들이 거주하는 지킬라루우 지역으로부터 북동쪽으로 40km가량 떨어진 곳이다. 기후환경단체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이번 소송의 주된 이유는 호주법에 보장된 원주민들과의 협의절차가 인허가 과정에서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관련 규제기관인 호주 해안석유환경청(NOPSEMA)은 ‘해양 석유 및 온실가스 저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스전 사업이 티위 제도 원주민들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과 협의 절차를 거쳤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봤다. 그러나 이번 소송의 원고로 나선 원주민 대표 데니스 티파칼리파는 시추 계획과 관련, “어떠한 협의 절차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산토스가 시추 계획에 대해 협의절차를 거쳤다고 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