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돌아온 ‘중간배당 시즌’…유망종목 알아보니

삼성전자·포스코·SK텔레콤·에쓰오일 등 주목

[KJtimes=김승훈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진인태(50·가명) 사장은 중간배당 시즌이 돌아오면서 기대감이 크다. 상장사들의 중간배당은 주식 투자자들의 여름 보너스로 통하고 있어서다.


진 사장이 특히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이유는 따로 있다. 올해는 상장사들의 이익 호조세가 이어지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주주환원 정책에 힘이 실리면서 배당규모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게 그것이다.


실제 주식투자자들은 진 사장처럼 이 같은 이유로 여러해 연속 중간배당에 나선 기업 등 배당투자 유망주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분위기다. 중간배당은 회계연도 중간에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상장사 대부분이 12월 결산법인이어서 일반적으로 6월 말을 기준으로 이뤄진다.


증권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의 하나이고 회계연도 중간에 이뤄지는 만큼 실적에 자신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중간배당에 나서는 기업은 주가 흐름도 양호한 편이라고 말했다.


정동휴 신영증권 연구원은 작년에 6월 중간배당을 했던 기업이 올해도 배당을 할 확률은 88%에 달한다“6월 배당주는 78월 주가수익률도 코스피 대비 높게 나타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배당소득 증대세제에 따른 세금 감면 혜택이 줄고 기업소득 환류세제의 배당 비중이 기존 대비 50% 축소하는 등 정부의 배당정책이 일부 후퇴했으나 올해 상반기 고배당 종목의 수익률은 여전히 양호하다면서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본격화 등 주주환원정책 강화로 배당주의 투자 매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 증권업계에선 어떤 종목을 유망종목으로 보고 있을까.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작년까지 3년 연속 중간배당에 나선 12월 결산 상장법인은 모두 25개사다. 특히 10년 넘게 중간배당 개근을 한 기업은 11개였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선 모두 18개사가 3년 연속 중간배당을 했다. 포스코(POSCO)[005490]와 삼성전자[005930], SK텔레콤[017670], 하나금융지주[086790], GKL[114090], 삼화왕관[004450], 진양산업[003780] 등이 그곳이다.


코스닥시장에선 7개사가 3년 연속 중간배당에 나섰다. 한국가구[004590], 리드코프[012700], 인탑스[049070], 지에스이[053050], 대화제약[067080], 메디톡스[086900], 청담러닝[096240] 등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 2006년부터 2016까지 11년간 중간배당을 해 온 기업들이다. 삼성전자와 포스코, SK텔레콤, 에쓰오일(S-Oil)[010950], KCC[002380], 한국쉘석유[002960], 신흥[004080], 대교[019680], KPX케미칼[025000], 하나투어, 한국단자[025540] 등이 주인공이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배당주로 꼽히는 에쓰오일과 포스코는 지난달 중순에 일찌감치 중간배당 실시 계획을 알렸다. 삼성전자와 대교, KPX케미칼, GKL 등도 공시를 통해 최근 중간배당을 위한 주주명부폐쇄 결정을 밝혔다.


뿐만 아니다. 증권가에선 작년까지 2년 연속 중간배당을 한 현대차[005380]를 비롯해 SK텔레콤, KCC[002380], 한국쉘석유[002960], 하나투어[039130] 등도 중간배당에 나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한편 중간배당 기준일이 보통 이달 30일이어서 주주명부에 올라 배당을 받으려면 그 2거래일 전인 오는 28일까지 주식을 사야 한다. 배당금 규모는 7월 이사회에서 결정되고 이사회 결의일 20일 안에 이뤄진다.









[코로나 라이프] 백신치료제 기업들, 코로나치료제 개발 이슈로 이득만 취해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주가만 띄워 놓고 치료제 개발은 소리소문 없이 포기하는 등 이른 바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백종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국정감사 종합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다가 중단한 제약사들이 혈장치료제 개발 명목으로 거액의 국비를 먹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신청한 14곳의 제약사들이 정부로부터 총 1679억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의 품목 허가 이외에 현재 신약 개발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특히GC녹십자의 경우,세계 글로벌 제약사들도 연구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개발을 미루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코로나19 종식에 앞장 설 것을 선언하며 개발에 나섰지만 현재 임상단계(임상2a상)에서 연구를 종료했다. GC녹십자는 연구비 97억원 중 60%에 해당한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제약사들의 일반적인 신약 임상 절차에 따르면 대부분 임상2상(2a,2b)을 완료 후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하지만 GC녹십자는 국가 연구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