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CJ그룹, 신인 영화감독 등용문 ‘한·중청년꿈키움 단편영화제’ 성료

[KJtimes=김봄내 기자]CJ그룹(회장 이재현)은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CGV인디고점, CGV올림픽점에서 제4회 한·중청년꿈키움 단편영화제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CJ중국본사, 중국우호평화발전기금회가 공동 주최하고 CJ문화재단과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가 후원하는 이 영화제는 한중 양국 문화교류의 주축이 될 젊은 청년 감독들을 발굴해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지난 2014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4회 영화제는 지난해 최우수상을 받은 칸뤄한 감독의 누구의 당나귀인가를 개막작으로 막을 올렸다. 이후 4일간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우수 입선작 30편과 한국 신인감독들의 단편영화 12편이 영화제를 찾은 중국 영화 관계자 및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특히 CJ문화재단의 신인 영화 스토리텔러 지원 사업 스토리업(STORY UP)’ 출신인 염경식 감독의 신의 질문과 박성국 감독의 피크닉도 초청작으로 선발됐다. CJ문화재단은 지난 2010년부터 신인 스토리텔러들의 기획안을 발굴해 멘토링, 모니터링, 투자진행, 피칭과 홍보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실제 영화 제작까지 돕고 있다.

 

 

앞서 지난 515일부터 730일까지 진행된 공모작 접수에서는 젊은 중국 감독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연출력이 돋보이는 총 504편의 작품이 몰렸다. 한국 심사위원으로는 웰컴 투 동막골의 박광현 감독, ‘늑대소년의 조성희 감독이 참여했고, 중국에서는 영화 '베테랑'의 중국 리메이크작 감독인 우바이(WU BAY, 五百)감독, 송디(SONG DI, 宋迪) 감독, 영화제작자 천웨이치앙 (CHEN WEIQIANG, 陈伟强), 중앙희극학원 방송영화학과 루하이보(LUHAIBO, 陆海波) 교수 겸 작가, 북경사범대 시나리오연출 전공 인청구이(YIN CHENGKUI, 尹成奎) 교수 등 실력있는 영화인들이 참석해 영화제의 명성을 더했다

 

8일 폐막식과 함께 열린 시상식에서 우얼쿤비에커 감독의 구출이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보스니아 내전을 다룬 구출은 민족갈등이라는 비극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군상과 인간 본성에 대한 고찰을 수준 높은 연출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밖에 궈진보 감독의 막다른 길이 감독상 류밍산 감독의 보이지 않는 왕국이 각본상 시에신 감독의 스토리북CJ꿈키움상 한슈아이 감독의 라스트샷이 대외우호협회상 왕펑 감독의 ‘YELLOW’4DX 특별상 롱잉 감독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Screen X 특별상을 받았다.

 

 

이번 수상작 감독들은 내년 1월 중 한국을 방문해 유명 영화감독과 제작자, 배우, 신인 영화인들과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는 연수 기회가 주어진다. 또 향후 단편영화 제작 시 작품성 평가를 통해 이중 한 명을 선발, CJ문화재단이 제작비도 지원할 계획이다.

 

 

CJ그룹 민희경 사회공헌추진단장은 양국의 역량있는 신인 영화인을 발굴하고 관객들에게 작품을 선보일 기회를 제공해 양국 영화산업의 동반성장에 기여하는 것이 이 영화제의 취지라고 설명하며 다양한 문화교류 프로그램으로 양국 영화산업의 창작 생태계를 발전시키는데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