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요즘뜨는 정보

일본인들 ‘안중근 의사 추모식’ 참석한 진짜 이유

“국민영웅 넘어 인류영웅”…“일본은 진지하고 성실하게 반성해야”

[KJtimes=조상연 기자]"안중근 의사는 (한국의) 국민 영웅에서 머무르지 않고 인류의 영웅이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6일 오전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 열린 '안중근 의사 순국 108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고마츠 아키오(小松昭夫·76) 인간자연과학연구소 이사장은 추모식이 끝난 뒤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일본인으로서 안중근 추모식에 참석한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날 안중근 의사 추모식에는 고마츠 이사장 말고도 도쿄 호세이대학 마키노 에이지(牧野英二) 교수, 가노겐(鹿野元) 변호사, 사가현에 안중근의사 동양평화기원비를 건립한 야마사키 케이코(山綺惠子) 일행 등 30여 명의 일본인이 참석했다.


안 의사 추모식에 참석하는 일본인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인다고 주최 측인 안중근의사숭모회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내 안중근 의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 의사를 존경하는 일본인들도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고마츠 이사장은 "안 의사는 옥중에서 미완성 걸작 '동양평화론'을 남겼다""그때는 지금과 같은 편리한 교통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세상의 견문을 넓히기에는 어려운 시대였다. 안 의사는 세계평화를 이미지로 동양평화론을 집필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지정학적 역할을 고려할 때 (두 국가가) 세계평화를 함께 이끌어갈 중요한 시기"라며 한국과 일본의 협력을 강조했다.


고마츠 이사장은 한일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양국 정부의 경우 움직이기 힘든 측면이 있다"면서 "국민이 움직이지 않으면 안 된다"며 민간 차원의 양국 협력 필요성을 역설했다.


매년 안중근 의사 추모식에 참석하고 있는 하시모토 마사코(橋本順子·82) 씨는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더욱 분명한 태도를 주문했다.


홋카이도 삿포로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다 퇴직한 마사코 씨는 "일본 정부가 과거사에 대해 진지하고 성실하게 반성하고 한국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안중근 의사가 저격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내각 제도를 만드는 등의 업적을 남겼지만, 한반도를 식민지화하는데 아주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이토 히로부미가 그에 대한 '페널티'를 받은 것은 당연했다"고 말했다.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에 대해서는 "앞으로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는 일본과 한국, 심지어 중국이 서로를 이해하는 상태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과 그의 행동은 내가 이상으로 생각하는 그런 상태로 나아가려는 노력의 하나"라고 말했다.


안중근의사숭모회 주관으로 열린 이날 추모식에는 국무총리를 역임한 김황식 숭모회 이사장과 심덕섭 보훈처 차장, 안 의사의 증손자인 안도용 씨를 비롯해 해군 1800t급 잠수함인 '안중근함'의 승조원들과 일반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