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금리’ 적격대출 인기 고공행진 왜?

2012.09.05 09:49:39

출시 6개월만에 5조 돌파…낮은 금리에 주목

[KJtimes=김필주 기자]장기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인 적격대출이 출시 6개월 만에 5조원을 돌파하며 인기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5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올해 3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시중은행이 공급한 적격대출은 54079억원이며 8월에만 21341억원 늘어나 5조원을 거뜬히 넘어섰다.

 

월별 공급액은 3월에 1335억원이었지만 43203억원, 55047억원으로 급증했다. 6월에는 11390억원으로 1조원을 넘어서고서 7월에도 12563억원 더 커졌다.

 

이런 추세라면 주택금융공사의 올해 적격대출 공급 목표치인 115000억원을 조기에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적격대출은 유동화에 적합하도록 정해진 조건에 맞춰 설계된 장기고정금리 상품이다. 은행이 상품명이나 금리를 자율적으로 결정해 팔면 주택금융공사가 대출채권을 사들여 주택저당증권(MBS) 등 형태로 유동화한다.

 

적격대출이 인기를 끄는 것은 낮은 금리 때문이다.

 

장기 고정금리 상품인데도 현재 판매되는 적격대출 상품 금리는 4% 중반에 불과해 변동금리와 큰 차이가 없다. 장기고정금리 대출로 담보인정비율(LTV)이 높은 점도 인기 비결이다.

 

시중은행들이 적격대출을 앞다퉈 내놓은 것은 범정부 차원의 가계부채 종합대책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629일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잔액 비중을 2016년까지 30% 선으로 끌어올리도록 주문했다.

 

올해 3SC와 씨티은행을 선두로 농협, 하나, 국민, 신한, 기업은행 등이 잇따라 적격대출 시장에 뛰어들었다. 우리, 외환은행이 막차를 타면서 지방은행을 제외한 9개 시중은행 모두 적격대출을 취급하게 됐다.

 

정하원 주택금융공사 시장유동화기획단장은 변동금리 일색이던 주택담보대출이 고정금리인데도 금리가 낮다 보니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적격대출 시행 초기에는 신규 대출 수요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리 상승에 대비해 고정금리로 갈아타려는 기존 주택담보 대출자들의 수요가 많아졌다.

 

주택대출 의존도가 높은 은행들은 수익성 고민에 빠졌다.

 

이자 수입 대신 주택금융공사에서 판매수수료만 받는 탓에 적격대출 수익성은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보다 훨씬 떨어진다.

 

적격대출이 출시된 3월 이후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의 월별 주택담보대출 신규금액은 5조원대 초반에서 정체됐다.

 



김필주 기자 kpj@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