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갑의 횡포’에 금감원 칼 뺀다

2013.05.10 09:47:30

민원10만 건 육박…농협銀 국민카드 하나SK카드 등 대상

[kjtimes=김유원 기자] ‘갑의 횡포가 남양유업만의 문제가 아니었음이 각계에서 속속 확인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사의 소비자에 대한 횡포와 관련된 민원이 지난해만 10만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 민원은 94794건으로 전년의 84731건보다 1만 건(11.9%)이나 늘었다.

 

금융 민원은 200865758, 200976825건으로 증가하다가 201072169건으로 감소했으나 2011년 이후 경기 불황 장기화로 인한 금융 소비자 불만 고조와 저축은행 영업 정지 등으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

 

분야별로는 보험 민원이 지난해 48471건으로 전년의 4801건보다 18.8% 급증했다. 은행(저축은행, 상호금융 포함) 민원도 201139998건에서 지난해 42791건으로 7.0% 증가했다. 금융투자 부문만 지난해 3532건으로 전년의 3932건에 비해 10.2% 줄었다.

 

전체 민원의 절반인 51.1%가 보험 민원이었다. 보험설계사들이 보험 상품을 팔 때 복잡한 약관을 악용한 속임수로 가입시키거나 보험사들이 보험금을 계약했던 것처럼 주지 않아 생긴 것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보험 민원의 27.8%는 보험 모집 불만이었다. 보험금 산정(26.8%), 면책 결정(8.1%), 계약 성립 및 실효(8.0%) 등이 꼬리를 물었다.

 

보험 고객으로서는 복잡한 보험 지식이 없는 데다 나중에 보험금을 제대로 받지 못해 소송을 한다고 해도 이길 확률이 없어 보험사에 항의하다 못해 금감원이나 소비자단체를 찾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비보험 민원은 대출(25.2%), 신용카드(20.1%), 후순위채권(12.6%), 신용 정보(6.7%) 순으로 많았다.

 

금감원이 내놓은 지난해 금융사 민원발생 평가에서 농협은행, 국민카드, 하나SK카드, 롯데손해보험[000400], 에르고다음다이렉트, 키움증권[039490], HK저축은행 등이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민원 해결 의지가 낮은 이들 최하위 등급 금융사를 대상으로 밀착 관리를 강화하고, 소비자 보호가 미진하며 같은 유형의 민원이 반복되는 등 개선 여지가 보이지 않으면 민원 감독관까지 파견하겠다는 게 금감원의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갑의 횡포로 불이익을 본 중소기업이나 고객이 많아 민원 감축에 각별한 관심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김유원 기자 u14u@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