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순환출자 고리 1년 새 절반 줄여...삼성,롯데 최다

2014.08.06 09:21:37

[KJtimes=김봄내 기자]13개 대기업이 1년 사이 순환출자 고리를 절반 넘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상호출자제한 49개 기업집단 중 순환출자(환상형) 고리를 보유한 13개 그룹의 지분구조를 조사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고리 개수는 총 50개로 집계됐다.

 

1년여 전인 지난 20134107개와 비교하면 절반 이상인 57(53.3%) 고리가 끊어졌다.

 

이번 조사에서 순환출자 고리는 출자사와 피출자사 간 지분이 1% 이상인 경우만 집계했으며, 20134월 이후 신규 추가된 고리는 조사에서 제외했다.

 

가장 많은 고리를 가진 롯데와 삼성이 발 빠르게 움직였다.

 

롯데는 롯데제과롯데쇼핑롯데알미늄롯데제과 등으로 얽혔던 51(20134)의 고리를 지난달 말 10개로 41개나 줄였다.

 

롯데는 각 계열사가 지닌 그룹사 지분을 순환출자 고리의 핵심인 롯데쇼핑과 롯데제과 등에 몰아줘 출자구조를 단순화했다.

 

롯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16개의 고리를 가졌던 삼성은 1년여 새 9개를 정리하며 계열사 간 순환출자 해소에 나서는 한편 금산분리(산업자본과 금융의 분리)의 사전 포석을 뒀다.

 

삼성은 지난해 말 삼성전기와 삼성물산이 삼성카드 지분 3.81%2.54%를 삼성생명으로 넘기며 지분정리를 시작했고, 올해 들어서도 6월 삼성카드가 제일모직 주식 4.67%를 삼성전자에 매도해 2개 고리를 절단했다. 이어 삼성생명이 삼성물산 지분 4.65%를 삼성화재[000810]에 넘겨 6개 고리를 추가로 끊었다.

 

7월에는 제일모직이 에버랜드 지분 4%를 삼성SDI로 매각해 2개의 고리를 끊었다.

 

동부는 동부제철동부생명동부건설동부제철로 이어졌던 순환출자 고리 5개가 재무구조 개선 과정에서 모두 해소됐다. 금융부문은 수직계열화 됐고 제철은 지분을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했다.

 

현대차(2)를 비롯해 현대중공업(1), 대림(1), 현대(4), 현대백화점(3), 한라(1), 현대산업개발(4) 등 범현대가와 한솔(7)은 순환출자 고리 변동이 없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