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외국서 담합 과징금 1조6000억대 달해

2014.11.18 08:03:35

[KJtimes=김봄내 기자]한국 기업이 담합혐의로 외국 경쟁당국으로부터 부과받은 과징금이 2010년 이후 16천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0년부터 현재까지 약 5년간 세계 각국의 경쟁당국이 한국 기업의 담합(카르텔)을 적발해 부과한 과징금은 16605억원(조치시점의 환율 적용)에 달한다.

 

미국 경쟁당국은 20113월 컴퓨터 컬러모니터용 브라운관(CDT) 가격을 담합한 삼성SDI[006400]370억원(3200만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105D램 가격을 담합한 삼성전자[005930]와 하이닉스에 각각 260억원(14600만유로), 730억원(5100만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불공정행위를 한 LG디스플레이[034220]3320억원(21500만유로)의 과징금을 매겼다.

 

201212월에는 텔레비전이나 PC에 사용되는 브라운관인 음극선관(CRT) 시장을 과점하고 고객을 나눠가진 LG전자[066570]와 삼성SDI에 각각 6975억원(49200만유로), 2140억원(15100만유로)의 과징금 폭탄을 내렸다.

 

EU 집행위원회는 올해 9월 스마트폰과 은행카드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 가격을 담합한 삼성전자에 470억원(3510만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 밖에 2010년 이후 대한항공[003490]은 캐나다(62억원호주(63억원뉴질랜드(32억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중국(합쳐서 373억원) 경쟁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한국 기업이 최근 5년간 외국 경쟁당국으로부터 부과받은 과징금(16605억원)은 통계가 있는 1996년 이후 19년간 전체 과징금(34153억원)의 절반(48.6%)에 육박한다.

 

공정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국제 카르텔(담합)에 대한 각국의 규제강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제재 수위와 범위가 모두 대폭 확대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렇게 제재가 강해지는 이유에 대해 공정위 관계자는 "각국이 자국의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각 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의 수단으로 경쟁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반도체업체 관계자는 미국을 예로 들면서 "자국 제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자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기업들의 시장 지배율을 떨어뜨리기 위해 불공정행위를 샅샅이 뒤지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통설"이라고 말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