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사내보유금, 6개월새 29조원 늘어나 '왜?'

2014.12.17 11:06:39

삼성그룹 가장 많아...전체 31% 차지

[KJtimes=김봄내 기자]10대 그룹의 사내유보금이 6개월새 29조원, 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7CEO스코어에 따르면 10대 그룹의 금융사를 제외한 83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분기말 연결기준 사내유보금은 5378000억원으로 6개월 전인 1분기 말 5087000억원에 비해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율은 1679.1%에서 1733.6%54.5%포인트 높아졌다.

 

이때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당기이익 중 세금과 배당 등의 지출을 제외하고 사내에 축적한 이익잉여금에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이다. 통상 이익잉여금이 70%가량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를 자본금으로 나누면 사내유보율이 된다.

 

통상 유보율이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배당 가능성이 큰 기업으로 평가받는 반면 투자와 배당 등에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기업소득환류세제를 통해 투자나 임금, 배당 등에 쓰지 않고 쌓아둔 이익잉여금에 과세할 방침을 밝힌 상태다.

 

유보금에는 현금 외에 투자로 인한 유형자산과 재고자산 등이 포함돼 있어 곳간에 현금이 쌓여 있다고 볼 수 없다는 시각도 있는데 이들 10대 그룹의 현금성자산도 148조원에서 153조원으로 5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그룹 중 사내유보금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으로 1968000억원이었다. 10대 그룹 전체의 36.6%에 달하는 규모다. 1분기 1824000억원에 비해 7.9% 늘었다.

 

이중 삼성전자 유보금이 1686000억원으로 삼성그룹 전체의 86%, 10대 그룹 전체의 31.4%를 차지했다. 1분기 1584000억원보다는 6.5% 증가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사내유보금은 1245000억원으로 1분기보다 7.4% 늘었다. 이어 SK그룹과 LG그룹이 각각 6.8%, 5.6% 증가한 588000억원과 48조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4대 그룹이 10대 그룹 사내유보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9.6%에 달해 1분기(78.4%)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이들에 이어 포스코그룹 449000억원(증가율 1.1%), 롯데그룹 286000억원( 3%), 현대중공업그룹 172000억원(-11.6%), GS그룹 104000억원(5.8%), 한화그룹 6조원(4.9%), 한진그룹 27000억원(-3.3%) 순이었다.

 

3분기 누적 2조원 이상의 적자를 낸 현대중공업그룹은 1분기보다 유보금이 23000억원 줄었고 유보율도 381%포인트나 낮아졌다. 한진도 사내유보금이 900억원 감소했고 유보율은 58.8% 포인트 낮아졌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1686000억원(6.5%)으로 가장 많은 유보금을 쌓아두고 있고 현대차 575000억원(6.9%), 포스코 422000억원(1.2%), 현대모비스 227000억원(8.4%), 기아차 201000억원(8.4%)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SK텔레콤 166000억원(6%), 롯데쇼핑 163000억원(3%), 현대중공업 156000억원(-9.7%), SK이노베이션 15조원(-0.8%), SK하이닉스 129000억원(23.5%) 순이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