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시장’에서 자금 이탈현상 일어나고 있는 까닭

2015.05.04 08:49:08

한달 새 1조3000억 이탈…‘녹인(knock-in)’ 가능성 우려 팽배

[KJtimes=김바름 기자]주가연계증권(ELS)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1조원이 넘는 자금이 빠져나갔다. 한동안 시중자금을 대거 빨아들이던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 사이에는 그 이유에 궁금증을 나타내고 있다.

 

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429일 기준 ELS 발행 잔액(·사모 합계)602281억원이다. 지난 3월말보다 13179억원 줄었다.

 

월별 발행량을 봐도 투자자들의 ELS 시장 이탈 현상이 뚜렷했다. 476625억원이 조기상환(66561억원) 또는 만기상환(164억원)된 가운데 66767억원어치의 ELS가 새로 발행돼 신규 발행액이 상환액보다 1조원 가까이 적었다. 월간 기준으로 신규 발행액이 상환액보다 적은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이다.

 

최근까지 조기상환에 성공하고 나면 으레 다시 ELS 상품에 재투자하곤 하는 흐름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실제 올해 들어 ELS 발행 잔액은 1월말 588853억원, 2월말 591143억원, 3월말 615460억원으로 꾸준히 늘어났는데 이번에 감소세로 돌아선 상태다.

 

‘ELS시장에서 이처럼 자금 이탈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해 증권가에선 우리나라와 유럽, 중국 등 주요 해외 증시가 많이 오른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지수가 하락해 장기간 돈이 묶이거나 심할 경우 원금 손실을 볼 것을 우려하는 경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한편 증권사들도 바빠졌다. 원금 손실인 녹인(knock-in)’ 가능성을 우려하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커짐에 따라 고객 이탈 방지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원금보장형 ELS와 녹인 가능성을 대폭 낮춘 ELS 상품을 증권사들이 잇따라 출시하고 있는 게 이를 반증하고 있다.

 

일례로 하나대투증권은 지난달 30하나대투증권 ELS 5398등 녹인 조건이 없는 상품 4종을 판매했다. 신영증권도 녹인 조건을 기초자산 가격의 45% 이하로 설정, 57%대 세전 이익을 추구하는 ELS를 내놓았다.

 

한 증권사의 ELS 발행 담당자는 이달 들어 ELS 발행이 대폭 줄면서 원금보장형 상품 등 다양한 상품을 내놓았다면서도 이렇게 되면 추구 수익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대체 상품으로 떠나는 고객을 잡기가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연초까지만 해도 ELS 상품의 추구 수익률은 연 79%대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57%대로 낮아지는 추세라고 지적하면서 위험 가능성이 작아지면 기대 수익률은 떨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바름 기자 kbr@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