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총수 지분율 '쥐꼬리'...평균 0.25% 불과

2015.08.06 09:54:19

직계가족 보유분 더해도 평균 0.49% 그쳐

[KJtimes=김봄내 기자]10대 재벌 총수가 보유한 전체 계열사 지분율이 평균 0.2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2명 중 1명꼴로 지분율이 1%에도 못 미쳤기 때문으로, 직계가족의 보유분을 더해도 지분율은 평균 0.49%에 그쳤다.

 

6일 재벌닷컴이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GS, 현대중공업, 한진, 한화, 두산 등 국내 10대 그룹 총수 일가의 소유 지분을 집계한 결과, 10명의 총수가 보유한 전체 계열사 지분율은 평균 0.25%에 불과했다.

 

총수가 보유한 지분에 배우자와 자녀가 보유한 지분을 더한 '총수가족 지분'0.49%에 그쳤다. 4촌 이내 친족이 소유한 지분 규모도 평균 0.73%였다.

 

총수별로 보면 박용곤 두산그룹 회장 개인의 지분율이 0.00%, 10대 그룹 총수 중 가장 낮았다. 보유 주식이 워낙 적다 보니 비율로는 0%가 된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0.05%, 지분율이 두 번째로 낮은 총수였다.

 

구본무 LG그룹 회장도 0.07%에 그쳤다.

 

최태원 SK그룹 회장(0.51%)과 정몽준 현대중공업그룹 회장(0.76%) 역시 보유 지분이 1%에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 10대 그룹 총수 중에서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계열사 보유 지분율이 2.24%로 가장 높았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보유 지분율은 1.89%, 두 번째로 높았다.

 

조영호 한진그룹 회장(1.78%), 허창수 GS그룹 회장(1.25%),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1.12%)1%대의 지분율을 나타냈다.

 

총수 개인과 배우자, 자녀 등 직계가족이 보유한 지분을 합쳐 봐도 박용곤 회장 가족의 보유 지분은 0.03%에 그쳐 가장 낮았다.

 

정몽준 회장 가족(0.76%)과 구본무 회장 가족(0.13%), 최태원 회장 가족(0.51%) 도 지분율이 1%를 밑돌았다.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장남 신동주 전 일본롯데 부회장, 차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롯데 직계 가족도 보유 지분이 1.94%에 불과했다.

 

김승연 회장 가족(1.90%)과 허창수 회장 가족(1.36%)의 보유 지분도 1%대에 그쳤다.

총수 가족이 보유한 지분율도 이건희 회장 가족이 5.16%로 가장 높았다.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 등 정 회장 가족의 보유 지분은 3.60%, 두 번째로 많았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가족이 보유한 지분은 2.57%였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