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성인 2명 중 1명, 나는 나홀로족...'혼술남녀' 이유 있었다

2016.09.20 10:32:12

[KJtimes=김봄내 기자]청년세대를 중심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먹기), 혼놀(혼자 놀기), 혼영(혼자 영화보기) 등을 즐기는 나홀로족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30세대 2명 중 1명은 스스로를 나홀로족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20~30대 성인남녀 1,593명을 대상으로 본인이 나홀로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52.5%가 본인이 나홀로족에 해당한다라고 응답했다.

 

나홀로족이 된 이유로는 가장 많은 75.9%(복수응답)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할 수 있어서라고 답했다. 이어 혼자만의 시간이 보장되어서’(66.4%),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려고’(36.7%), ‘남에게 맞추는 게 힘들어서’(35.5%), ‘남들과 비교되는 게 싫어서’(10.6%) 등의 의견이 있었다.

 

혼자 자주 하는 활동 1위는 95.3%(복수응답)가 선택한 혼밥(밥먹기)’이었다. 다음으로 쇼핑’(84.3%), ‘운동’(83.6%), ‘영화보기’(74.7%), ‘여행’(59.7%), ‘음주’(48%), ‘드라이브’(43.1%), ‘노래방 가기’(30.9%) 등을 들었다.

 

현재 본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만족도는 73.1%, 나홀로족에 해당하지 않는 응답자(756) 중 만족한다는 비율(64.4%)보다 더 높았다.

 

최근 나홀로 문화가 확산되는 것에 대해서는 86%긍정적이다라고 응답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91.2%남성’(82.6%)보다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 방해 받지 않을 수 있어서’(67.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서’(55.4%),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안 해도 되어서’(53.1%),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것 같아서’(44.6%), ‘효율적인 것 같아서’(42.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한편, 나홀로 문화가 확산되는 가장 큰 원인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44.1%개인주의 가치관 확산을 꼽았다. 계속해서 경제 불황’(19.8%), ‘비혼자 증가’(12.1%), ‘청년실업 증가’(8.9%), ‘가족의 의미 변화’(5.3%) 등을 선택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