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 중시 20대 '음성보다 터치'...4050세대 음성UI에 편리성 느껴

2018.07.22 15:36:47

[KJtimes=김봄내 기자]AI(인공지능) 내비게이션 ‘Tx누구가 서비스하고 있는 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서비스에 40~50대 중장년 층이 열광하고 있다.

 

반면 ICT에 익숙한 것으로 평가되는 20대가 오히려 60대 보다 사용자 비중이 낮았다.

 

SK텔레콤은 지난 5~6‘Tx누구서비스 이용행태 분석 결과, ‘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서비스는 지난 1월 출시 이후 6달만에 이용 건수가 하루 7000건에서 202400건으로, 28.9배 급성장했다고 22일 밝혔다.

 

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는 운전 중에 말로 전화(문자)를 걸고 받는 서비스로, ‘Tx누구가 제공하는 음성 서비스 중 음악듣기를 제치고 사용 비중 2(19.51%)에 올랐다.(1위는 목적지 검색)

 

특히 운전 중 전화 서비스 헤비(Heavy) 유저일수록 안전운전 습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AI도입이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20, 오히려 60대보다도 음성 UI 덜써음성보다 문자에 편리성 느낀다해석

 

SK텔레콤이 6월 한 달 동안 ‘Tx누구이용자의 사용 행태를 분석한 결과, 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이용자는 40(34.3%)50(26.4%)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 절반을 넘었다. 이어 30(19.6%)-60(9.8%)-20(6.2%) 순이었다.

 

특히 20대와 60대를 비교할 때, ‘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의 이용자가 60대가 더많았으며, ‘Tx누구가입자를 고려한 사용 비중을 비교했을 때도 60대의 활용도가 더 많았다.

 

이는 높은 집중력을 요구하는 차량 운전 상황에서, 글자 입력 보다는 말로하는 음성 UI60대가 더 편리성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사생활을 중시하는 20대는 주변에 자신의 말소리가 들리는 음성UI보다는 오히려 터치를 선호한다는 해석이다. 또 어려서부터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해와 터치에 익숙한 것도 또다른 원인으로 분석됐다.

 

운전중 음성 전화/문자서비스 급성장‘Tx누구기능 다원화

 

‘Tx누구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이용건수는 전체의 19.51%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음악서비스 이용은 10.71%, 날씨문의는 1.67%에 그쳤다.

 

내비게이션의 본원적 기능인 목적지 검색에 이어 운전중 전화/문자가 출시 6개월만에 사용빈도2위에 오른 것은, 전방을 주시해야 하는 운전 상황에서, 스마트폰 자판을 치지 않고도 다른 사람과 통화할 수 있는 음성 UI’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1712월과 비교할 때, ‘186월 현재 ‘Tx누구중 길안내 외 서비스는 27.37%에서 45.25%로 증가했다. 또한 길 안내 외 서비스의 종류가 11가지에서 38가지로 늘어났다.

 

‘Tx누구가 단순히 내비게이션 역할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생활·엔터테인먼트 영역까지 도와주는 스마트 비서로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성의 음성 UI’ 활용 여성보다 2배 이상 많아

 

‘Tx누구가입자 기준, 남성:여성의 비중은 55:45 정도다. 하지만 ‘Tx누구운전중 전화걸기서비스는 남성의 사용 비중이 두배 정도 많았다.

 

연령별로는 30~50대는 운전중 전화걸기를 사용하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2.31 정도였지만, 20(3.11), 60(2.81)의 경우는 차이가 더 커졌다.

 

남성들의 AI 사용 비중이 높은 것은, 기계와 기술에 대한 관심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 같은 사용 패턴은 과거 내비게이션 ‘T도입과정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된 바 있다. 네비게이션 이용 초기인 2000년대 중반, 여성들의 T맵 이용률은 남성들의 절반에 불과했지만, 2010년대엔 남성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음성UI 안전운전에도 영향전화걸기 이용자 안전운전 점수 높아

 

‘Tx누구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사용자들이 운전습관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운전 중 전화·문자 보내기서비스를 많이 사용할수록 운전습관 점수가 높았다. 즉 음성 UI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장 운전점수가 낮았고, 음성UI를 많이 사용할수록 안전운전 점수가 높았다.

 

안전운전점수: T맵을 기반으로 일정 주행거리 이상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급가속, 급감속, 제한속도 초과 등 운전습관을 통해 점수를 산출. 안전운전점수는 국내 보험사에도 제공, 일정 점수 이상이면 보험료를 인하하는 상품에 활용되고 있음.

 

‘Tx누구헤비 유저(최근 4주 동안 5일 이상 발화)와 음성 UI를 사용하지 않는 운전자는 평균 기준으로 3.9점이 차이가 났다.

 

SK텔레콤 이해열 카 라이프 사업 유닛장은 빠르게 이용자가 늘고 있는 ‘Tx누구이용 행태 분석을 통해 음성 UI의 특장점 등을 알 수 있다음성 UI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개발을 통해 이용자들의 ‘Tx누구활용도를 더욱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