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구직난 뚫은 신입사원 스펙은?”

2018.12.12 15:06:11

[KJtimes=김봄내 기자]극심한 구직난을 뚫고 올해 하반기 취업에 성공한 신입사원의 스펙은 어떻게 될까?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올 하반기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341개사를 대상으로 ‘2018년 하반기 신입사원 스펙에 대해 조사했다.

 

 

이공계 여전히 선호

 

올 하반기 신입사원 중 절반 이상인 64.8%(복수응답)의 최종 학력이 대졸이었으며, 그 중 지방 사립 대학’(31%) 출신이 3분의 1에 가까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은 수도권 소재 대학’(24.3%), ‘서울 소재 대학’(19.8%), ‘지방 거점 국립 대학’(17.1%), ‘SKY 등 명문대학’(4.2%), ‘해외 대학’(3.7%)의 순이었다.

 

 

하반기 신입사원 전공의 평균 비율은 이공학계열43.2%로 여전히 강세를 보였고, ‘인문, 어학계열’(19.8%), ‘상경계열’(17.5%), ‘사회계열’(8.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기업은 평균 3.2점의 학점을 자격조건으로 내걸었고, 최종 합격자들의 평균 학점은 이보다 다소 높은 3.4점으로 집계되었다.

 

 

높아진 외국어능력, 토익 755-토익스피킹 레벨6

 

토익 성적 보유 비율은 53.2%, 올 상반기(51.6%) 대비 1.6%p 증가했으며, 토익스피킹 역시 32.2%로 소폭(2.5%p) 늘어났다.

 

 

성적도 상반기보다 높아졌다. 블라인드 채용 등 스펙을 배제한 채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능력과 같은 객관적인 스펙의 평균 실력은 점점 높아지고 있었다.

 

상반기 토익 성적 보유자의 평균점수는 707점이었으나, 하반기에는 755점으로 무려 48점 상승했다. 구간별로는 ‘750~800점 미만’(19.4%), ‘800~850점 미만’(17.7%), ‘850~900점 미만’(13.7%), ‘700~750점 미만’(11.3%), ‘650~700점 미만’(10.5%) 등의 순으로 상반기보다 800점 이상 고득점자 비율이 크게 늘었다.

 

 

토익스피킹 평균 레벨은 6으로 조사되었다. 세부적으로는 레벨6(130~150)’(50.7%), ‘레벨7(160~180)’(21.3%), ‘레벨5(110~120)’(20%), ‘레벨4 이하(100 이하)’(5.3%) 등의 순이었다.

 

 

당락에 가장 큰 영향 미치는 스펙은 전공

 

기업은 당락에 영향을 미치는 스펙 1순위로 전공’(28.3%)을 꼽았다. 계속해서 인턴 경험’(13.3%), ‘인턴 외 아르바이트 경험’(12.4%), ‘보유 자격증’(9.9%), ‘대외활동 경험’(9.4%), ‘외국어 회화 능력’(4.7%), ‘학력’(3.9%) 등의 순이었다.

 

 

스펙과 인성의 평가 비중에서는 57:43(인성:스펙)의 비중으로 인성을 더욱 중요하게 평가한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 인턴 경험 있어올드루키도 24%에 달해

 

하반기 신입사원 중 절반 이상(56.2%)이 인턴 경험을 보유하고 있었다.

 

, 경력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입으로 지원해서 합격한 올드루키의 비율도 전체 신입사원의 평균 24.4%에 달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