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4곳, Z세대 신입사원 ‘불만족’”

2020.11.17 16:36:17

[KJtimes=김봄내 기자]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Z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안정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Z세대 신입사원을 맞게 된 기업은 이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92개사를 대상으로 요즘 세대 신입사원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42.6%는 과거 신입사원과 비교해 Z세대 신입사원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비슷하다는 응답은 39.5%였고, ‘만족한다17.9%에 불과했다.

 

 

실제로 Z세대 신입사원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평균 ‘60으로 그리 높지 않게 집계됐다.

 

 

조직적응력도 이전 신입사원에 비해 낮아졌다’(54.1%)는 응답이 과반을 넘었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Z세대 신입사원들에게 느끼는 약점과 강점은 무엇일까?

 

 

Z세대 신입사원들이 이전 세대 신입사원보다 부족한 것으로는 책임감’(41.6%, 복수응답)1위로 꼽았다. 다음은 배려 및 희생정신’(36.2%), ‘근성, 인내력, 강한 소신 및 추진력’(34.9%), ‘기업문화 적응력’(23.2%),‘협업 능력’(22.2%), ‘대인관계 구축 능력’(21.9%) 등의 순서였다.

 

반면, Z세대의 최고 강점으로는 단연 디지털 신기술 활용 능력’(43.6%, 복수응답)을 꼽았다. 다음은 빠른 이해와 판단’(33.9%), ‘다양한 활동 경험’(29.1%), ‘외국어 등 글로벌 역량(20.2%), ‘의사소통능력’(8.2%), ‘긍정적인 사고방식’(5.9%) 등을 들었다.

 

 

이 같은 강점이 회사에서 잘 발휘될 때는 디지털, SNS 등 활용 시’(38.3%, 복수응답)가 역시 가장 많았다. 이어 업무 습득 및 상황 판단이 빠를 때’(31.9%)가 바로 뒤를 이었고, ‘같은 일에서 생각하는 관점이 다를 때’(27.3%), ‘거리낌 없이 자신의 의견을 타진할 때’(24.2%), ‘불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을 때’(9.2%)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개인을 중요시하는 성향이 강한 MZ세대를 보며 기업 입장에서는 조직 결속력 등을 걱정할 수 있지만, 디지털 활용 능력을 비롯해 이전 세대가 갖지 못한 다양한 강점을 가진 것도 분명하다.”라며 또한, 점차 MZ세대들이 회사의 주축을 이룰 수 밖에 없는 만큼 이들이 가진 장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이를 토대로 조직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