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선 탄소중립] 길 잃은 5대 석유화학·정유기업...온실가스 감축 에스오일(S-Oil) '최하점'

2024.12.20 11:44:32

온실가스 감축 계획 평가 결과, 1위 SK이노베이션·2위 LG화학·3위 롯데케미칼·4위 GS칼텍스·5위 에쓰오일
5대 기업 평가 결과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들의 감축 전략, 선언적 수준서 벗어나 구체적 실행력 갖춰야"



[KJtimes=정소영 기자] 국내 5대 석유화학·정유 기업인 에쓰오일(S-Oil), SK이노베이션, LG화학, 롯데케미칼, GS칼텍스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이들 기업들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평가한 결과 5대 기업 모두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기술적 투자가 부족해 실질적인 감축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에쓰오일이 최하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글로벌 환경단체 기후솔루션은 “멈춰선 탄소중립: 한국 석유화학기업의 길 잃은 약속” 보고서를 내고, 국내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에 대한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5대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평가한 결과 SK이노베이션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LG화학, 롯데케미칼, GS칼텍스, 에쓰오일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약 2.24기가톤(Gt CO2e)로, 이는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3%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이 같은 플라스틱은 2050년까지 생산량이 최소 2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플라스틱 제품의 기초가 되는 에틸렌 생산능력이 세계 4위인 석유화학 강국으로서, 플라스틱 공급망에 핵심을 담당하고 있어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에 막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

◆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에쓰오일 약 950만톤으로 가장 많이 배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석유화학 및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6820만톤(CO2e)에 달한다. 석유화학산업의 배출량은 5200만톤(CO2e), 정유산업의 배출량은 1620만톤(CO2e)으로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2022년 기준)의 약 10%를 차지한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 5450만톤(CO2e)이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명세서를 기준으로 에쓰오일이 약 950만톤으로 가장 많은 배출량을 기록했으며, GS칼텍스와 LG화학이 각각 850만톤, 800만톤 수준으로 그 뒤를 이어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된다.


하지만 보고서는 주요 배출원인 기업들이 막대한 책임이 있음에도 온실가스 감축 계획의 구체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들은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속가능성보고서와 ESG 보고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관리 계획 등을 발표하고 있으나, 구체적 계획이 없다면 실질적인 감축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보고서는 정유 및 석유화학 5개사인 GS칼텍스, SK이노베이션, 에쓰오일, 롯데케미칼, LG화학을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온실가스 저감 계획 ▲에너지 전환 관련 투자 ▲전과정 평가 전략(LCA) ▲탄소배출권 확보 전략 ▲인증서 ISCC 등 확보전략을 기준 등 6개의 국제기준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SK이노베이션이 24점으로 1위에 올랐으며, 2위는 LG화학(22점), 3위는 롯데케미칼(19점), 4위는 GS칼텍스(16점), 5위는 에쓰오일(13점)이 차지했다. 그러나 항목별 평가 기준의 만점이 5점, 총점 만점이 30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5대 기업들 중 모든 평가 기준에서 만점을 받은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 보고서 “국내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들, 글로벌 경쟁력 갖추기 위해 구체적인 감축 목표와 단계적 로드맵 수립해야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SK이노베이션은 탄소배출권 확보와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즉 스코프(Scope) 3 배출량 관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전반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실행 및 대응 전략이 미흡하며 국제 기준에 비하면 상당히 뒤쳐지는 상황이다. 

2위를 차지한 LG화학도 스코프(Scope) 3 배출량 관리와 ISCC 인증서 등 확보 전략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전 과정 평가(LCA)와 공급망 전반에 대한 구체적 관리 전략이 미흡했다. 롯데케미칼과 GS칼텍스는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전환 투자와 스코프(Scope) 3 관리 전략이 미흡했다. 에쓰오일의 경우 감축 계획이 매우 제한적이며, 스코프(Scope) 3 산정과 전 과정 평가 전략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고서는 “배출량 대비 기업 배출권의 무상할당량 비율이 매우 높아 감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SK에너지와 LG화학, 롯데케미칼은 무상할당량이 실제 배출량을 초과해 각각 배출량 대비 할당량은 101%, 111%, 112%이다. GS칼텍스와 에쓰오일도 90% 이상의 무상할당 비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은 배출권거래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배출권의 유상할당 비율 확대와 같은 제도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림 3. 정유/석유화학 부문 백만톤 클럽[1] 기업의 배출량 대비 무상할당량 현황]

또한 보고서는 “국내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들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감축 목표와 단계적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기 크래커 기술, 재생에너지 전환 등 혁신 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와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인 감축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글로벌 기준에 맞춘 스코프(Scope) 1~3 배출량 공시와 전 과정 평가(LCA) 기반 관리 전략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의 저자인 기후솔루션 노진선 연구원은 “국내 석유화학 및 정유 기업들의 감축 전략은 선언적 수준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실행력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하고. “이를 통해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저탄소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시대에 적합한 지속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며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더불어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기후위기 대응과 국가 경제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이다”고 말했다.



정소영 기자 jsy1@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