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고용률 사상 첫 50% 돌파…일자리 '질'은 여전

2014.07.02 08:47:10

[KJtimes=김봄내 기자]여성 고용률이 사상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2일 통계청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달 여성 고용률은 50.2%로 작년 같은 달보다 0.5%포인트, 전월보다는 0.3%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이 수치는 관련 통계가 편제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며, 여성 고용률이 50%대를 기록한 것은 20076(50.0%)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달 여성 고용률은 20대 후반과 50대 초반을 중심으로 올라갔다.

 

특히 2529세 여성 고용률(70.1%)은 통계 편제 이후 처음으로 70%대를 넘어섰다. 같은 연령대의 남성 고용률(69.3%)보다 0.8%포인트 높다. 일할 능력이 있는 20대 후반 여성 10명 중 7명은 직장이 있다는 의미다.

 

여성 고용률이 전반적으로 높아짐과 동시에 기혼 여부에 따른 고용률 격차 또한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달 2529세 기혼여성 고용률은 51.6%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포인트, 3034세 기혼여성은 고용률은 49.1%1.6%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연령대의 미혼 여성 고용률은 각각 78.0%, 78.5%로 작년과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졌다.

 

여성들의 결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30대 후반과 40대 초반 기혼여성 취업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와 육아 때문이다.

 

육아로 비경제활동인구가 된 3034세 여성은 작년 동기보다 43000명 감소했지만 3539세에서는 14000, 4044세에서는 23000명이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란 취업할 의사가 없거나 일할 능력이 없는 15세 이상 인구로 가정주부, 학생, 연로자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여성 고용률 증가세에는 전체 고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삼은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고령층 여성의 노동시장 잔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윤정혜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휴직 활용 확대 등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비경제활동상태에 있던 여성 일부를 노동시장으로 끌어들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여성 일자리의 ''이 늘어난 데 비해 ''은 크게 좋아지지 않았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지난달 5054세 여성 고용률(65.2%)은 작년 동기보다 1.9%포인트 늘어 전 연령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3040대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보다는 50대 기혼 여성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50대 여성은 정규직보다는 소득이 낮은 시간제 비정규직 일자리를 얻는 경우가 많다.

 

고승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지 않는 것은 이들이 구할 수 있는 일자리의 질이 여전히 낮기 때문"이라며 "시간 선택제 일자리가 여성 고용률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하지만, 질적 수준이 좋은 일자리가 얼마나 만들어졌는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