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위키드’, 단일 공연 사상 최다관람 기록 눈앞

2014.07.14 18:19:58


[KJtimes=유병철 기자] 뮤지컬 위키드한국어 초연이 105일 종연을 확정한 가운데 712일 기준 실관람객 28만명을 기록 30만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105일 종연 시점에는 36만명, 매출규모 300억을 돌파할 것으로 보이며 이 기록은 단일공연으로 한국 뮤지컬 사상 최다 관람 수치이다.

 

뮤지컬 위키드2012년 내한공연 초연으로 235천명 관람, 그 해 뮤지컬 흥행 1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1년만에 국내 톱 캐스팅과 오리지널 스케일을 그대로 가져오며 화제가 된 위키드한국어 공연은 호평 속에서 매회 매진 행렬을 기록, 내한초연과 한국어 초연만으로 7월 초 국내 누적관객 50만 명을 돌파했다. 단 두 번의 프로덕션으로 누적관객 50만이라는 기록을 세운 것은 뮤지컬 위키드가 유일무이하다. 이는 위키드가 가진 강력한 브랜드 밸류를 입증한 것이며 오페라의 유령’, ‘캣츠와 더불어 또 하나의 뮤지컬 킬러 콘텐트로서 확고하게 자리 매김 했다고 볼 수 있다.

 

주목할 부분은 위키드를 통해 처음 뮤지컬 장르를 접하는 생애 첫 뮤지컬 관람자가 많다는 점이다.

 

자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201312, 20142, 6위키드관람객 대상), 표본집단 중 “<위키드>로 처음 뮤지컬을 관람했다라고 답한 응답자가 15~20%에 달했다. 관람 만족도 역시 만족한다”, “매우 만족한다라는 답변이 98% 이상을 차지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28만 명 관람 기준, 6만 명 정도가 위키드를 통해 처음 뮤지컬 장르를 접하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예매자의 평균 성별 비율을 보면 남자가 45% 를 점유, 전체 관객의 절반에 가까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 별로도 30대가 36%, 40/50대가 26%에 달해 타 공연에 비해 전 연령에 고른 사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키드를 통해 새로운 관객이 유입되고, 뮤지컬 관객층을 넓히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장기 흥행작에 있어서 공연장의 역할의 중요성이다. ‘위키드를 포함해 2001오페라의 유령이래로 6개월 이상 대극장에서 공연된 장기 공연작품은 총 12(단일시즌 1000석 이상의 단일 공연장 기준). 이 중 샤롯데씨어터에서 공연된 작품만 총 6편으로 국내 공연된 장기 공연작품의 절반 이상이 샤롯데씨어터에서 공연 된 것이다. (‘라이온 킹’(06), ‘드림걸즈’(09), ‘오페라의 유령’(09), ‘지킬 앤 하이드’(10), ‘맨 오브 라만차’(12), ‘위키드’(13). 이는 2006년 최초의 뮤지컬 전용 공연장으로서 개관한 이래 꾸준히 장기 공연 프로젝트에 의지를 가지고 참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연장의 입장으로는 쉽지 않은 선택일 수 있지만 장기공연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공연장의 의지도 중요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위키드는 방학 시즌을 맞아 724일부터 백스테이지를 투어할 수 있는 도슨트 프로그램을 매주 목요일 운영할 예정이다. 화려한 의상과 무대 매커니즘을 공연 전 미리 만날 수 있는 만큼 무대를 전공하는 학생들뿐 만 일반 관객들도 관람 전 공연을 재미있게 볼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뮤지컬 위키드마지막 박스인 9월 공연티켓은 852시 전예매처에서 오픈된다. 조기예매 20%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10년간 기다린 무대 위키드를 만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다. ‘위키드는 샤롯데씨어터에서 105일까지 공연된다.   

 

 



유병철 기자 ybc@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