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대기업, 배당은 높게 투자‧고용은 '글세'

2014.08.27 10:10:06

3년간 순이익 80% 이상 배당에 투자(37.6%)‧고용(3.9%) 감소

[kjtimes=정소영 기자] 외국계 기업들이 국내에서 올린 수익으로 배당률을 늘리고 있지만 정작 투자와 고용 기여도는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부 유출 또는 단물 빼먹기라는 지적이다.

 

27CEO스코어가 2013년 기준 매출 1조원 이상의 외국계 투자기업 28곳의 실적 및 고용, 투자, 배당성향을 조사한 결과, 지난 3년간 3025000억원의 매출에 순이익은 126000억원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익률은 4.2%.

 

3년간 이들 기업은 10890억원을 배당해 80.3%의 누적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순이익은 201153000억원에서 지난해 33000억원으로 2조원이 줄었지만 배당금은 33000억원에서 43500억원으로 1조원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만 놓고 보면 순이익보다 1조원 이상 많은 배당을 실시했다. 배당성향은 131%로 지난해 국내 10대 그룹의 순이익 대비 배당 비율 26.7%를 감안하면 5배에 가까운 수치다.

 

지난 3년 동안 누적 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274.5%나 된 한국지엠이었다. 특히 20121000억원의 적자 탓에 누적 순이익이 1200억원에 그쳤지만 배당액은 2000억원에 달했다. 앞선 2011년에는 1700억원으로 136%의 배당성향을 보였다.

 

소니코리아의 경우 2006년 이후 배당을 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순이익의 1255%를 배당해 3년 누적 배당성향은 272.7%2위를 차지했다.

 

코닝정밀소재도 44500억원의 152.5%68000억원을 배당했고 한국바스프와 한국델파이, 노벨리스코리아, 한국IBM이 각각 90.9%, 89.2%, 86.1%, 80.4% 80% 이상 되는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홈플러스와 코스트코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BMW코리아 등은 조사 기간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이들 28개 외국계 기업은 3년간 높은 배당성향을 보였음에도 직원 수는 도리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201187018명의 직원 수를 보였지만 201284646, 201383645명으로 3년간 3.9%의 고용 감소율을 보였다.

 

같은 기간 국내 10대 그룹 직원 수는 849019명에서 91221명으로 36.9%나 늘어난 것과 대조된다.

 

3년간 고용 증가율은 77.2%를 보인 BMW코리아가 가장 높았으며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33.7%)와 히타치엘지데이터스토리지 코리아(27.5%), 코스트코 코리아(14.5%), 라이나생명보험(11.2%), 한국바스프(9.8%) 순이었다.

 

한편 고용과 함께 국내 설비투자 규모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외국계 기업은 201136200억원의 설비투자 규모를 보였지만 이듬해에는 29400억원으로 18.8% 감소했고 2013년에는 22600억원으로 23.1% 급감했다. 3년 새 37.6%나 줄은 것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재계 일각에서는 외국계 기업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투자와 고용에 대해서는 기여도가 낮아 단물 빼먹기 또는 국부 유출이라는 다소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정소영 기자 jsy@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