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권주자 김무성 전 대표 “전문군인 확대가 징병제의 대안”

2016.09.23 12:21:19

대선 단골 아젠다 ‘병역제도’ 본격 언급… 전문가 집단과 참모진의 심도 깊은 논의 거쳐

[kjtimes=견재수 기자]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최근 정치권 아젠다로 떠오른 병역제도에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전문군인 확대라는 안을 거론했는데 흙수저만 군대에 간다는 비난도 피하고 빠듯한 국가 예산까지 고려했다는 해석이다.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인 김 전 대표는 22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병역제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전문분야를 가진 직업군인 확대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남경필 경기지사가 주장하고 있는 모병제 전환론을 직접적으로 받아 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표는 남 지사가 거론한 모병제 도입이 현재 상황에서는 시기상조이며, 소위 사회적 약자로 불리는 흙수저만 군대에 간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생각을 내비쳤다.
 
특히 43만여명으로 추산되는 사병들에게 한 달에 200만원씩 지급하게 되면 전체 국방 예산의 4분의 1에 달하는 약 103500억원이 소요되기 때문에 국가 예산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김 전 대표는 이렇게 되면 국방 예산을 대폭 늘려야 하는데 빠듯한 국가 살림에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결국 직업군인을 확대해 부족한 사병 수를 채우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것이 김 전 대표의 결론이라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또한 김 전 대표 측근의 말을 인용해 국가 안보와 미래가 걸린 문제인데다 사실상 전국민의 관심사라 대선 때마다 늘 주요 의제가 돼 왔던 만큼 대안 마련을 위해 심도 깊게 검토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남 지사는 모병제 전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했다. 남 지사는 인하대학교에서 열린 특강을 통해 모병제 전환 뒤 공무원 지원이나 대학 과정 마련, 취업과 창업 교육 등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군대가 곧 일자리이자, 신분 상승 사다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 지사의 모병제를 강하게 비판했던 유승민 의원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반대 입장을 재차 밝혔다. 유 의원은 우리나라처럼 경제적 불평등이 심각한 사회에서는 모병제 하에서 군대에 손들고 가는 게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병역을 다하는 것은 우리나라처럼 안보가 심각한 상황에서는 시민의 의무라며 이런 시민의 의무를 돈으로 사고파는 그런 상품으로 취급하는 것도 옳지 않다고 덧붙였다.


견재수 기자 ceo0529@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