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연말정산 환급금 작년보다 줄어들 것"

2017.02.06 12:00:03

[KJtimes=김봄내 기자]‘13월의 월급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온 가운데, 올해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직장인은 10명 중 7명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765명을 대상으로 ‘2016 연말정산 시 환급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72.8%환급 받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2015년 연말정산) 환급을 받았다고 밝힌 이들(79.6%)보다 6.8%p 감소한 수치다.

 

예상하는 소득공제 환급액은 평균 221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연말정산 시 실제로 받은 환급액 평균인 229천원보다 8천원 적은 액수다.

 

결혼 여부에 따른 예상 환급액 규모는 기혼이 미혼보다 두 배 이상 많이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의 경우 평균 379천원으로 미혼(155천원)보다 224천원 많았다. 지난 해 실제로 환급 받은 금액 역시 기혼(388천원)이 미혼(158천원)보다 23만원 많았다.

 

예상 환급액 규모는 기업 형태 및 직급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먼저, 기업 형태에 따라서는 대기업(333천원), 중견기업(295천원), 중소기업(189천원)의 순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종사자 간 약 144천원의 격차가 났다.

 

직급별로는 임원급(892천원), 부장급(418천원), 과장급(418천원), 대리급(23만원), 사원급(124천원)의 순이었다.

 

반면, 세금을 더 낼 것이라고 답한 직장인(208)들이 예상하는 추가 납부 세금은 평균 217천원이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을 잘 받기 위해 별도로 준비하는 것이 있을까?

 

전체 응답자의 4명 중 1(24.7%)이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체크카드 사용’(66.1%, 복수응답)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현금영수증 항상 발급’(61.9%), ‘신용카드 사용’(43.4%), ‘연금저축 등 공제 금융상품 가입’(32.3%), ‘기부금액 확대 및 영수증 발급’(23.8%), ‘인적공제 위한 부양가족 기재’(17.5%), ‘전통시장 적극 이용’(8.5%) 등이 있었다.

 

연말정산 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으로는 제대로 계산된 것인지 의심됨’(51.4%,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법령이 자주 바뀌어 공제조건 파악 어려움’(47.6%), ‘업무 등으로 바쁜 중에 처리해야 함’(45.2%), ‘기재항목 복잡하고 많음’(36.9%), ‘챙겨야 할 서류가 너무 많음’(36.7%) 등으로 조사됐다.

 

, 환급금을 받는다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묻는 질문에는 추가 저축’(34.4%, 복수응답), ‘갖고 싶던 물건 구매’(22.2%), ‘대출 상환에 보탬’(19.5%), ‘개인 비자금 조성’(18.3%), ‘여행자금으로 활용’(14.1%), ‘부모님, 자녀 용돈’(12.9%) 등의 답변이 있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