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6곳, 채용 시 학벌 평가 ‘부정적’”

2017.03.02 10:33:32

[KJtimes=김봄내 기자]학벌주의가 우리 사회에 뿌리깊게 자리하면서, 많은 구직자들이 학벌을 중요한 자격 조건으로 느끼고 있다. 하지만, 채용 시 학벌을 반영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304개사를 대상으로 학벌이 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0.9%부정적이라고 답했다.

 

3년 전 동일 조사에서 61.2%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밝힌 것과 상반되는 결과다.

 

학벌이 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 업무 능력과 크게 연관이 없어서’(71.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선입견으로 공정한 평가가 어려워서’(34.6%), ‘다양한 인재를 선발할 기회를 놓쳐서’(25.9%), ‘연봉 등 지원자의 눈높이가 높아서’(17.8%), ‘사내 파벌 형성을 조장할 수 있어서’(7%)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채용 평가 시 학벌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신입 채용 시 출신학교를 기재하도록 하는 기업(249개사) 36.5%가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답했다.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는 대부분인 74.7%지원자를 더 꼼꼼히 평가한다라고 답했고, 이외에 가산점 부여’(15.4%), ‘채용 내정’(1.1%) 등이 있었다.

 

이들이 선호하는 학벌 1위는 서울 4년제 대학교’(38.5%, 복수응답)였다. 이밖에 지방거점국립대’(25.3%), ‘수도권 소재 대학교’(24.2%), ‘SKY 등 명문대’(15.4%), ‘해외 대학교’(5.5%)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벌이 좋은 신입사원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절반 이상인 59.5%차이 없다라고 답했다. 이어 만족도가 높다29.6%, ‘오히려 만족도가 낮다10.9%였다.

 

학벌이 좋은 신입사원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과반 이상인 74.4%(복수응답)업무 습득력이 빨라서라고 답했다. 이밖에 성실성이 뛰어나서’(20%),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우수해서’(17.8%), ‘우수한 성과를 내서’(17.8%), ‘조직문화를 잘 따라서’(8.9%) 등의 응답 순이었다.

 

반대로 만족도가 낮은 이유로는 업무 습득력에 큰 차이가 없어서’(58.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외에도 자만하고 성실하지 못해서’(21%), ‘조직에 잘 융화되지 못해서’(20.1%), ‘원하는 게 많아서’(15.9%), ‘타 직원들에게 위화감을 조성해서’(4.7%), ‘선배의 지시를 잘 따르지 않아서’(3.7%) 등의 답변이 있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