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직장인 93% "결혼 후 맞벌이 할 것"

2017.03.13 11:13:19

[KJtimes=김봄내 기자]내 집 마련 부담과 자녀 양육비 등으로 결혼 후 맞벌이를 계획하는 직장인들이 많다. 실제로 미혼 직장인 10명 중 9명이 맞벌이를 할 생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847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의향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미혼 직장인(534)의 대부분인 93.4%결혼 후 맞벌이를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80.9%)보다 맞벌이를 하겠다는 응답이 12.5%p 증가했다.

 

맞벌이를 하려는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여유 있게 생활하고 싶어서’(71.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외벌이로는 생활비가 부족해서’(68.1%)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서’(47.5%), ‘각자 자아실현을 할 수 있어서’(34.5%), ‘자녀 양육비를 위해서’(30.7%), ‘각자 경제적 독립이 필요해서’(25.9%), ‘대출금 등 빚을 빨리 갚기 위해서’(21.8%) 등의 답변이 있었다.

 

예상하는 맞벌이 중단 시기는 일할 능력이 될 때까지’(54.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경제적으로 충분히 여유 있을 때까지’(23.8%), ‘자녀를 낳을 때까지’(5.6%), ‘노후자금이 충분히 마련될 때까지’(4.6%) 등을 들었다.

 

, 48.3%는 결혼하려는 상대가 맞벌이를 할 의향이 없다면 결혼 불가 사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맞벌이를 할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부부간 가사분담 비율은 평균 48:52(남성:여성), 부부가 대략 절반씩 나눠 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상대의 수입이 충분할 경우 맞벌이를 하지 않을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 이상인 70.1%그렇다라고 답했다.

 

이때, 배우자의 월 수입은(실수령액 기준) 평균 628만원으로 집계되었다.

 

그렇다면, 기혼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맞벌이는 어떨까?

 

기혼 직장인(313) 65.2%가 현재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만족 여부에 대해 만족한다’(70.6%)는 응답이 불만족한다’(29.4%)보다 2배 이상 더 많았다.

 

그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어서’(72.2%, 복수응답), ‘자아실현 등 개인 삶의 질을 높여서’(36.8%), ‘자녀 및 부모님 경제적 지원이 수월해서’(31.9%), ‘각자 독립된 경제권을 가지고 있어서’(19.4%), ‘회사생활의 어려움을 잘 이해해줘서’(16.7%) 등을 들었다.

 

맞벌이로 버는 부부 공동의 월 수입은 ‘450~500만원 미만’(16.7%), ‘600~650만원 미만’(13.7%), ‘500~550만원 미만’(12.7%), ‘350~400만원 미만’(10.3%), ‘400~450만원 미만’(9.3%), ‘550~600만원 미만’(7.4%) 등의 순으로 답해, 평균 543만원이었다.

 

하지만, 맞벌이를 하면서 받는 스트레스 여부에 대해 대부분인 92.6%있다라고 답했으며, 이들이 받는 스트레스 1위는 회사와 가사일의 병행’(60.3%, 복수응답)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생하는 것에 비해 적은 수입과 저축액’(48.7%), ‘자녀 직접 양육 문제’(33.3%), ‘가사 분담 정도에 대한 갈등’(29.1%), ‘자녀 교육 문제’(27%), ‘회사 스트레스로 인한 잦은 화풀이’(22.2%) 등을 꼽았다.

 

실제 가사 분담은 평균 36:64(남성:여성)로 한다고 답해, 미혼 직장인이 기대하는 것보다는 여성의 가사분담 비율이 더 높았다.

 

, 자녀가 있는 맞벌이 직장인(125)들의 경우, 80%는 자녀 양육 문제로 일을 그만두고 싶을 때가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육아와 병행하느라 체력적으로 힘들 때’(52%, 복수응답), ‘자녀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할 때’(50%), ‘육아분담이 불균형해 부부갈등이 생길 때’(26%), ‘직장에서 눈치를 줄 때’(25%), ‘대신 봐주는 부모님 등에 눈치 보일 때’(24%) 등이 있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