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전 조기폐경 여성, 당뇨병 위험 4배

2017.07.20 11:02:28

[KJtimes=김봄내 기자]폐경이 일찍 오면 당뇨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에라스뮈스대학 메디컬센터 역학 연구팀은 조기 폐경이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9일 보도했다.

 

'로테르담 연구'(Rotterdam Study)에 참가하고 있는 여성 3639명을 대상으로 평균 9.2년에 걸쳐 진행된 조사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을 이끈 타울란트 무카 박사가 밝혔다.

 

이들 모두는 처음엔 당뇨병이 없었고 조사 기간에 이 가운데 348명이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폐경이 40세 이전에 시작된 조기 폐경 여성은 폐경이 55세 이후에 늦게 시작된 여성에 비해 당뇨병 발병률이 4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44세에 폐경이 시작된 여성도 2.4배 높았다.

 

그러나 44~55세 사이에 폐경이 온 여성의 당뇨병 발병률은 55세 이후 폐경 여성에 비해 60%밖에 높지 않았다.

 

일반적인 건강상태(혈압, 혈당, 고지혈증, 과거 병력), 약물 사용, 초경 연령, 흡연, 음주, 체중, 혈중 에스트라디올(에스트로겐) 수치, 유전적 요인 등 교란변수(confounding variables)들을 모두 고려했지만, 이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는 조기 폐경이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무카 박사는 설명했다.

 

폐경 전에 이러한 위험을 촉진하는 그 무엇인가가 있었을 것이라고 그는 추측했다. DNA 수리-유지 메커니즘의 결함을 그는 지목했다.

 

폐경은 노화의 표시일 수 있다. 손상된 DNA를 수리-유지하는 유전자의 효율이 떨어지는 여성은 노화가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조기 폐경은 DNA 수리-유지 효율이 낮은 데서 오는 건강의 문제들을 예고하는 지표일 수 있다.

 

결국, 폐경과 관련된 당뇨병 위험은 폐경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이 결과가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무카 박사는 지적했다.

 

조기 폐경과 당뇨병 위험 증가 사이에 존재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해서 조기 폐경을 당뇨병 예고와 예방의 지표로 삼을 수 있을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당뇨병학'(Diabetologia) 최신호에 발표됐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