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갑질 그만! 구직자 80%, 불쾌한 면접 경험 있어”

2018.04.25 18:38:56

[KJtimes=김봄내 기자]구직자 10명 중 8명은 불쾌한 면접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구직자 762명을 대상으로 불쾌한 면접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79.5%있다고 답했다.

 

불쾌감을 느낀 부분으로 가족사, 재산상태 등 사적인 질문’(39.3%, 복수응답)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성의 없이 짧은 면접’(38%), ‘반말 등 면접관의 말투’(35.1%), ‘스펙에 대한 비하 발언’(34.3%), ‘나이, 성별 등 차별적 질문’(33.5%), ‘삐딱한 자세, 매무새 등 면접관의 태도’(32%) 등이 있었다.

 

구직자가 불쾌한 감정을 느낀 이유로는 인격적인 무시를 당한 것 같아서’(55.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무역량과 관련 없는 질문을 받아서’(45.5%),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돼서’(35.3%), ‘면접이 끝나기도 전에 탈락을 알아채서’(33.2%),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서’(23.8%) 등을 들었다.

 

그러나 면접 후 불쾌감을 느껴도 대부분의 구직자는 그냥 참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4.7%특별히 대응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15.3%만이 적극적으로 대응을 했다고 밝혔다. , 그 방법으로 ‘SNS, 카페 등에 해당 내용을 게재’(52.7%, 복수응답)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불쾌한 면접 경험을 겪었던 기업의 유형은 중소기업’(71%), ‘중견기업’(35.6%), ‘대기업’(1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별도의 면접관 교육 시스템이나 면접 가이드라인이 없는 경우가 많은 것도 한 요인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면접 중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발언은 무엇이 있을까?

면접 중 불쾌감을 주는 말을 들은 경험이 있는 구직자(529)들은 1위로 부모님 직업은? 애인은 있어? 와 같은 개인 신상관련 발언’(44%, 복수응답)1위로 꼽았다. 계속해서 ○○○씨를 왜 뽑아야 하는지 모르겠다와 같은 지원자를 무시하는 발언’ (33.6%), 여자인데 결혼하면 관두는 것 아닌가? 와 같은 차별적인 발언’(29.5%), 아까 뭐라고 말했는가? 기억이 안 난다라는 무관심이 드러나는 발언’ (20.6%)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90.7%는 면접 경험이 지원 회사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이들 중 69.5%는 실제로 면접 이후에 기업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변한 적 있다’(복수응답)고 밝혀,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한 적 있다’(18.2%)는 응답보다 4배가 많았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