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 시대]“2018 직장인 회식 문화도 달라졌다”

2018.07.09 09:41:33

‘워라밸’ 등의 중요성 부각…‘일과 사생활 구분하자’는 가치관 정립

[KJtimes=김봄내 기자]직장생활을 묘사할 때 꼭 빠지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회식’. 직장동료들끼리 가벼운 술 한잔으로 하루 동안 쌓인 스트레스를 푸는 자리가 될 수도 있지만 한국 기업에서 꼭 바뀌어야 하는 꼰대 문화중의 하나로 꼽히는 것도 회식이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695명을 대상으로 이유도 묻지 않고 불이익도 주지 않는 회식 거부권행사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1%가능하다고 답했다.

 

52시간 근무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018 직장인들의 회식 양상은 어떠할까.


직장인들이 주로 갖는 회식 유형은 여전히 술자리 회식’(83.5%,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점심시간 활용 및 맛집 탐방 회식’(18.7%), ‘영화, 공연 관람 등 문화 회식’(4.9%) 등이 있었다.

 

하지만, ‘워라밸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일과 사생활을 구분하자는 가치관이 정립되면서 회식문화도 조금씩 변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54.4%직장 내 회식 문화가 달라졌다고 답했으며, 긍정적인 변화 1순위로는 회식 횟수 자체가 줄었다’(55.9%, 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음주 보다는 식사 중심으로 끝낸다’(38.3%), ‘회식문화 개선 노력’(17.8%) 등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회식에 참석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다는 직장인도 31.1%였다. 회식 불참여로 인한 불이익으로는 팀 혹은 부서 내에서의 은근한 소외감’(57.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각인’(57.4%), ‘상사의 질책’(30.1%), ‘회사 내 중요한 이슈 누락’(24.1%), ‘승진 등 인사고과에 부정적 영향’(22.7%)등이 있었다.

 

한편, 회식에 대한 인식은 세대별직급별로 차이가 존재했다.

회식이 직장생활이 꼭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 사원급(60.5%)과 대리급(64.5%)필요없다는의견이 우위를 보인 반면 과장급 이상부터는 회식은 필요하다는 답변이 평균 66.8%로 우세였다. 세대별로도 2030은 평균 61%회식이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반면, 4050은 반대로 회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평균 67.7% 였다. 직장에서 회식 갈등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회식이 필요한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유대감 형성 등 단합에 필수적이어서’(65.4%, 복수응답)였다. 반대로 필요 없는 이유로는 퇴근 후 개인시간 활용을 못하게 되어서’(55.1%, 복수응답) 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