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前대통령 국립묘지 안장, 反 62% vs 贊 27%

2019.01.07 13:08:26

[KJtimes=김봄내 기자]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할 경우 국립묘지에 안장하는 데 대해 국민 10명 중 6명의 대다수는 법 개정을 해서라도 막아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12·12 사태와 5·18 내란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특별 사면된 바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할 경우 국립묘지 현충원에 안장될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CBS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전두환 전 대통령의 국립묘지 안장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법 개정을 해서라도 국립묘지 안장을 막아야 한다는 반대 입장이 61.5%, ‘특별사면이 되었으므로 국립묘지 안장을 허용해야 한다는 찬성 입장(26.8%)의 두 배 이상으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11.7%.

 

세부적으로는 거의 대부분의 지역과 연령, 정당 지지층, 이념성향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의 국립묘지 안장에 반대하는 여론이 우세한 가운데, 특히 호남, 40, 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반대가 80%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수층에서는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섰고, 한국당 지지층에서만 찬성이 반대의 2배 이상으로 우세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반대 78.7% vs 찬성 12.8%)에서는 반대 여론이 80%에 가까웠고, 중도층(64.2% vs 28.0%)에에서도 반대가 대다수로 조사됐다. 보수층(반대 44.2% vs 찬성 44.5%)에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지지정당별로 정의당(반대 89.6% vs 찬성 6.8%)과 민주당(84.4% vs 8.8%)지지층에서는 반대 여론이 80%대 중후반으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바른미래당 지지층(63.0% vs 26.0%)과 무당층(45.6% vs 31.4%)에서도 반대가 대다수이거나 다수였다.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층(반대 27.4% vs 찬성 56.9%)에서는 찬성이 반대의 두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반대 80.3% vs 찬성 9.8%)에서는 반대 여론이 80%를 상회했고, 이어 경기·인천(64.7% vs 25.7%), 대전·세종·충청(61.1% vs 32.4%), 부산·울산·경남(58.6% vs 26.0%), 서울(51.9% vs 31.8%), 대구·경북(49.7% vs 36.7%) 순으로 모든 지역에서 반대가 대다수이거나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반대 80.2% vs 찬성 14.7%)에서 반대가 80% 이상 압도적인 대다수였고, 30(67.5% vs 26.2%), 20(63.4% vs 18.7%), 50(55.4% vs 34.1%)에서도 대다수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반대 46.2% vs 찬성 36.3%) 또한 반대가 우세했다.

 

이번 조사는 201914()에 전국 19세 이상 성인 7,105명에게 접촉해 최종 503명이 응답을 완료, 7.1%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표집틀 확정 후 미수신 조사대상에 3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87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