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장애청소년 위한 ‘행복코딩스쿨’ 연다

2019.11.07 18:15:46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이 ICT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청소년들을 위해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에 적극 나선다.

 

 

SK텔레콤)은 올 해부터 2020년 말까지 전국 특수학교(일반학교 특수학급) 100여개, 1000여명의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행복 코딩스쿨’)을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장애청소년 행복코딩스쿨교육과정은 알버트 로봇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을 받는 기초과정(10), 개인 및 팀단위의 코딩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심화과정(ICT메이커톤, 심화캠프)으로 구성돼 있다.

 

 

SK텔레콤은 교육품질과 수준 높은 수업진행을 위해 코딩 전문강사 300여명을 직접 학교로 파견해 수업을 진행한다.

 

 

장애청소년 코딩교육에 대한 학교들의 반응은 뜨겁다. 올해에 진행 중인 행복 코딩스쿨은 당초 40개교 모집임에도, 특수학교() 132개교가 신청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SK텔레콤은 장애청소년들의 행복과 재능발굴에 기여하기 위한 행복 코딩스쿨을 기획하면서 올해 초부터 꼼꼼히 준비해 왔다.

 

 

무엇보다도 장애 청소년이 손쉽게 코딩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장애 유형과 학습능력을 고려한 특화된 교육 커리큘럼 개발이 필수적이었다.

 

 

이를 위해 교육부 산하 국립특수교육원과 소프트웨어교육혁신센터,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과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전국의 특수교육학과 및 소프트웨어 교육학과 교수특수학교 교사기업체 등 30여명의 전문가로 집필진을 구성해 총 14종의 교과서를 만들었다.

 

 

이 교재들은 교육부가 운영하는 에듀에이블’(특수교육 전문 교육자료 포탈)에 공개됐으며, 장애 청소년 교육에 관심있는 누구나 활용 가능하다.

 

 

SW교육이 사회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나, 교육 방법의 특수성과 한계로 장애청소년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정보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이 같은 교육 기회 제한은 장애청소년들의 진학 및 경제활동 참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있다.

 

 

실제로 국내 장애인의 대학 진학률은 15%로 전체 진학율(70%) 대비 1/5에 불과하며, 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 역시 39%에 그쳐 전체 참가율(64%)2/3에 그치고 있다.

 

 

또 이번 장애청소년 행복 코딩스쿨은 노사합의에 따라 SK텔레콤 임직원들이 기본급 인상분의 30%를 내고, 사측에서 같은 수준의 금액을 출연해 매년 30억원의 재원을 마련해 진행하는 사업 중 하나여서 더욱 뜻깊다.

 

 

소프트웨어교육혁신센터 이원주 센터장은 특수학교 교사의 자문을 직접 받아 장애 유형의 특징을 반영해 교재를 개발했다코딩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인지능력, 문제해결 능력 및 성취감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SK텔레콤 이준호 SV 추진그룹장은 “’행복 코딩스쿨을 통해서 장애 청소년이 ICT 교육 기회에서 차별 받지 않고,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숨겨진 재능을 발굴하여 훌륭한 인재로 커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승훈 기자 ksh@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