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5G 기지국 기술 TTA 표준화로 생태계 활성화

2020.06.17 14:06:24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ETRI 등과 공동으로 제안한 개방형 5G 기지국 표준안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으로 확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표준안은 5G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 구성 요소인 안테나 장치(RU, Radio Unit)와 분산 기지국 장비(DU, Distributed Unit)를 연결하는 유선망 프런트홀(Fronthaul)’ 규격에 관한 것으로 그동안 제조사별로 달랐던 규격을 표준화한 것이다.

 

기존에는 대형 통신 장비 제조사별로 프런트홀 규격이 달라 기지국 장비 및 솔루션이 일부 제조사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이번 개방형 표준 규격 제정으로 중소 장비 제조사 누구라도 관련 장비 개발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이번 표준화가 기지국 장비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LTE보다 더 촘촘한 안테나 장치와 분산국 장비의 구축이 필요한 5G 네트워크에서는 프런트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어 이번 표준화로 신규 제조업체들의 참여가 확대되어 향후 네트워크 구축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20186월부터 개방형 기지국 구축을 위한 글로벌 5G 통신사 연합체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얼라이언스에 이사회 멤버로 참여하여 개방형 프런트홀 규격을 제정하는데 협력해 왔다.

 

이와 동시에 SK텔레콤은 국내 표준화에도 앞장서 왔다. 201812ETRI와 함께 O-RAN 규격에 기반한 국내용 프런트홀 규격을 TTA에 국내 최초로 제안했으며 이후 5G 생태계 확장을 위해 타 이통사와도 협의를 거쳐 표준 정립에 이르게 되었다.

 

표준화 추진과 더불어 SK텔레콤은 개방형 기지국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 왔다. 20198‘5GX 인빌딩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 중소 제조사의 중계기와 대형 통신장비사의 기지국 간 상호 연동 검증을 마쳤으며 현재 지하철, 쇼핑몰 등 데이터 사용 밀집 지역에서 5G 인빌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3월 국내 중계기 기업 쏠리드및 글로벌 측정 장비 기업 키사이트와 이번 제정된 표준에 기반한 프런트홀 연동 기술도 확보했다. 쏠리드가 개발한 3.5GHz 28GHz 대역의 소출력 안테나 장치와 분산 기지국 장비의 송수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서 시장 활성화의 속도를 가속하고 있다.

 

SK텔레콤 박종관 5GX기술그룹장은 이번 표준 제정으로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 장벽이 매우 낮아졌다국내 장비 업체들이 국내 시장을 발판 삼아 해외 시장으로도 활발히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ksh@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