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지아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나무에서 얻은 자원을 활용해 플라스틱 원료를 만드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1일부터 3일간 진행되는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화석자원 대체 소재화 개발을 위한 '산림 바이오화합물 전환기술' 관련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이 기술은 석유 대신 나무를 원료로 활용해 다양한 산업소재를 만드는 방법으로 저탄소 사회 실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 신재생에너지의 전략적 가치'를 주제로 태양광, 풍력, 바이오에너지, 폐자원에너지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들이 모여 관련 연구과 정책을 공유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임산소재연구과 연구진은 바이오에너지와 환경 및 저탄소/CCUS 부문에 참석해 △바이오매스 기반 화학공정의 경제성 및 가격 민감도 분석 △포름산 탈수소효소를 활용한 이산화탄소의 생물전기화학적 포름산 전환 효율 평가 등을 발표한다.
연구진은 바이오매스 기반 화학공정의 경제성 및 가격 민감도 분석을 통해, 급속수열 반응 공정으로 하루 15톤의 산림바이오매스를 바이오화합물로 전환할 경우, 비용 대비 편익(B/C)이 1.25로 나타나 경제성 확보가 가능함을 제시했다.
또한, 포름산 탈수소효소를 활용한 이산화탄소의 생물전기화학적 포름산 전환 효율 평가에서는 목재부후균에서 분리한 효소를 활용해, 온실가스의 주범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 원료가 되는 포름산으로 전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유선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바이오화합물 전환기술은 산림자원을 활용해 바이오플라스틱 등 다양한 바이오산업의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다"라며, "산업의 원료를 화석자원에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으로 대체함으로써 탄소중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