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올해 경제활동참가율 50%대 예상

2013.03.11 11:04:23

노령화와 일자리 감소가 주 원인

 

 

[kjtimes=정소영 기자]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24년 만에 50%대로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장기불황에 따른 고용시장 위축과 갈수록 심화되는 노령화가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11일 통계청을 비롯한 복수의 관련기관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59.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50%대로 떨어지는 것은 지난 1989년 이후 24년 만이다.

 

소위 베이비붐 세대로 지목되는(1955~1964년 사이 출생) 900만명이 본격적인 경제활동을 시작한 이례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유지되던 60%대 경제활동 참가율이 해체되는 것이다.

 

올해 경제활동 인구는 총 24819000명으로 작년의 25403000명보다 약 2.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하는 것도 1998년 이후 15년 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한국 경제 체력의 급속한 저하는 15세 미만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비율을 말하는 노령화가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한국의 노령화 지수는 83.3%로 사상 처음 80%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승폭도 지난해(77.9%)보다 무려 5.4%포인트 높아져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 1978년 처음 10%를 넘어선 이래 1990년대에 20%30%에 진입했고 2006년 사상 처음 50%대를 돌파했다.

 

경제활동 참가율을 추락시킨 또 다른 원인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일자리 부족이 꼽혔다.

 

올해 들어 새로 창출되는 일자리는 약 30만개로 추정되며, 이는 지난해보다 8~15만개 정도가 감소한 것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고령화와 일자리 감소에 따른 경제활동 참가율 저하가 결국 저성장 고착화로 이어져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낮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는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제고와 청년 및 여성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공급을 제시했다.



정소영 기자 jsy@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