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경제, 삼성·현대차 의존도 높다

2014.01.13 08:38:55

두 그룹 영업이익 비중 국내 기업 전체의 30% 이상

[kjtimes=정소영 기자] 삼성과 현대차가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영업이익이 높아 위기 시 금융시장과 실물 경제의 불안정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만큼 두 기업에 의존하는 의존도가 높다는 것.

 

13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국내 전체 기업이 올린 영업이익 1417천억원(2012년 기준) 가운데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10대 그룹의 영업이익이 전체의 43.2%612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또 이 중 삼성과 현대차 등 두 그룹이 차지하는 영업이익의 합계는 43조원으로 전체의 30.4%나 차지했다.

 

특히 재계 1위 삼성그룹의 비중이 높아졌다. 2009년 삼성그룹의 영업이익 비중은 13.6%(162000억원)에서 201221.3%(302000억원)3년 사이 7.7%포인트 상승했다.

 

주력 회사인 삼성전자의 경우 경우 2009(5.4%), 2010(9.6%), 2011(7.9%)에는 10% 미만이었지만 2012년에 13.1%로 급상승했다. 전체 기업 가운데 두 자릿수를 차지한 유일한 기업이다.

 

그만큼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은 국내 경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됐다.

 

현대차그룹의 비중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200972천억원(6.1%)였던 현대차그룹의 영업이익 비중은 2012128천억원(9%)를 기록했다.

 

10대 그룹 가운데 두 그룹을 제외한 8개 기업은 나머지 200919.6%, 201018.7%, 201117.1%, 201212.8%로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20094%였던 SK그룹은 2010년과 2011년 각각 4.4%, 4.9%로 상승하다가 20124.1%로 하락했다. LG그룹도 LG전자의 부진으로 20122.6%에 그쳤다.

 

롯데그룹(20092.5%20122.2%), 현대중공업그룹(2.5%1.5%), GS그룹(2%1%)3년 새 비중이 떨어졌다.

 

한진그룹(0.1%0.2%), 한화그룹(1.3%0.9%), 두산그룹(0.9%0.3%)도 각각 제자리걸음을 보이거나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 같은 구조와 관련해 재벌그룹 쏠림현상 심화는 우리경제와 증시에 활력 저하를 초래한다는 지적이다. 다른 업종도 좋아야 전반적인 활력과 위기에 대한 항체가 높아질 수 있다는 해석으로 풀이할 수 있다.



정소영 기자 jsy@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