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절반, 전세값 3억5000넘어...가장 비싼 구는?

2015.09.15 08:32:33

[KJtimes=김봄내 기자]전국의 아파트 전세 물량 중 2억원을 웃도는 것이 지난달 절반을 넘어섰다.

 

서울에선 35000만원을 넘는 아파트가 과반이 됐다.

 

15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의 중위 전세가격은 270만원으로 전월(19903만원)보다 0.8%, 지난해 같은 달(17666만원)보다 13.6% 올랐다.

 

이는 전국 아파트 가운데 절반은 전셋값이 270만원 이상이라는 의미다.

 

국민은행은 "중위가격은 주택별로 전세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위치하는 가격"이라며 "전체 평균가격과는 다른 개념으로, 고가주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평균가격보다는 대체로 낮다"고 말했다.

 

서울 전체의 중위 전셋값은 지난달 35092만원으로 전월(34660만원)보다 1.2%, 지난해 8(29513만원)보다 18.9% 뛰었다. 2년 전(26424만원)보다는 약 9000만원, 32.8% 오른 가격이다.

 

이는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대출에 의존하지 않고 재계약을 하려면 평균치로 따질 때 지출분을 제외한 한 해 순수입이 최소 4500만원은 돼야 한다는 의미다.

 

주요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11개구(한강 남쪽 서울)가 가장 비싸고 상승폭도 가팔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 7(4335만원)에 처음 4억원을 넘은 데 이어 8월에는 4916만원으로 전월보다 1.4%, 작년 8(33726만원)보다 21.3% 치솟았다.

 

강북 14개구도 강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지난달 28151만원으로 전월(27896만원)보다 0.9%, 지난해 8(24492만원)보다 14.9% 올랐다.

 

상승률로는 인천이 8월에 전월보다 1.4%,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9% 올라 강남 11개구 다음으로 높았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25749만원으로 전월보다 1.1%, 작년 8월보다 16.7% 상승했다.

 

전세가격 강세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초저금리 상황과 맞물려 가속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서울에서는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 4구에서 잇따라 추진된 재건축 사업이 전셋값 급등과 전세난 심화를 불러왔다.

 

국민은행이 조사한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세계 금융위기 이듬해인 20093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78개월째 올랐다.

 

이 기간 전국의 오름폭은 62.9%였고 대구가 81.7%로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66.1%)에선 송파(88.6%), 서초(84.1%), 광진(77.9%)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