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최고액 수령자 월 194만원 받는다...'연기연금제도' 활용

2017.03.28 13:40:35

[KJtimes=김봄내 기자]국민연금공단이 지난해 국민연금 지급현황을 분석한 결과 연금 수급자는 4135천명(노령연금 341만명, 유족연금 65만명, 장애연금 75천명)이고, 가입 기간이 10년이 되지 않아 일시금으로 타간 사람은 227천명이었다.

 

이들이 받은 총지급액은 17700억원이었다.

 

20년 이상 가입한 노령연금 수급자는 25만명으로 전년대비 34.5%(64천명) 증가했다. 이들은 매월 평균 88만원의 노령연금을 받고 있다.

 

특히 작년에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129천명으로 전년대비 34.8% 늘었고, 150만원 이상 수급자도 975명으로 2015년보다 무려 296.3% 증가했다.

 

가장 많은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경북에 사는 A(65). A씨는 제도가 시행된 19881월부터 20119월까지 239개월간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더 많은 연금을 타고자 이른바 '연기연금제도'를 활용해 5년간 연금수급은 늦춘 덕분에 월 1937천원(2300여만원)을 받고 있다.

 

최고령 수급자는 서울에 사는 109세의 C씨로 국민연금 가입자인 자녀가 사망하면서 유족연금을 받고 있다.

 

201612월 현재 80세 이상 고령 수급자는 5년 전(28천명)보다 6.4배 증가한 18만명이며 이 중 67(여성 57, 남성 10)100세 이상 수급자다. 이런 초고령 수급자는 인구노령화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오랫동안 연금을 받는 사람은 장애연금 수급자인 D(60)로 총 16만원의 보험료를 내고 2711개월 동안 1억원 넘게 받았다.

 

D씨처럼 1989년부터 27년 이상 연금을 꾸준히 받는 장기수급자는 총 111(유족연금 수급자 87, 장애연금 수급자 24)이다.

 

노령연금 수급자 중 여성 수급자는 전년보다 10%(99천명) 증가한 109만명으로,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와 노후준비 인식 확산에 따라 매년 여성가입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도 25726쌍으로 전년(215102)보다 16.6% 늘었다.

 

이들 부부수급자 중에서는 최고 연금액이 월 299만원(남편 155만원, 아내 144만원)에 달한다.

 

국민연금연구원이 201550대 이상 중고령자 5천여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부부합산 노후 최소생활비(174만원)를 초과해서 받는 부부수급자도 1190쌍에 달했다.

 

연령별로 보면 2016년 현재 국민연금 수급연령인 61세 이상 인구(944만명)39.8%(376만명), 노인 기준연령인 65세 이상 인구(700만명)38.0%(266만명)가 국민연금을 받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대비 연금 수급자 비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울산시 동구(14370명 중 6998)와 전북 순창군(9193명 중 4476)48.7%로 가장 높았고, 경북 청도군(14274명 중 6894)과 전남 화순군(15516명 중 7489)48.3%로 그 뒤를 이었다.

 

이혼 배우자와 연금을 나눠 가지는 분할연금 수급자는 전년대비 33.7%(5천명) 증가해 2만명(월평균 18만원)에 이르고, 연금액을 늘리고자 노령연금 수급 시기를 늦추는 연기연금 신청자도 작년 17천명으로 전년대비 16.8%(2500) 늘었다.

 

국민연금은 장애, 노령, 사망 등 가입자 개인별 노후 위험을 대비하도록 보장하는 사회보험이다. 이를 통해 다치면 장애연금을, 나이가 들어 수급개시 연령이 되면 노령연금을 받는다. 또 가입자 자신이 사망하면 남아있는 가족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된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