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4곳 중 1곳, 코로나 때문에 구조조정 실시”

2020.12.03 16:44:33

[KJtimes=김봄내 기자]장기화된 코로나19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구조조정이나 휴직 등 강도 높은 인력 운영 대책을 꺼내 들고 있다. 실제로 기업 4곳 중 1곳은 올해 구조조정을 시행했거나 계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437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구조조정 실시 여부를 조사한 결과, 27.2%구조조정을 실시했거나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 사태에 직격탄을 맞은 식음료/외식57.9%로 가장 높았고, ‘조선/중공업’(44.4%), ‘유통/무역’(33.3%), ‘서비스업’(32.1%) 등의 순으로 구조조정 실시율이 높았다.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코로나19로 경영 상황이 악화돼서’(69.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68.9%)가 바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해서’(37.8%), ‘잉여 인력이 있어서’(16.8%),‘합병, 사업부 개편 등이 예정돼 있어서'(4.2%), ‘조직에 긴장감을 불어넣기 위해서’(4.2%), ‘신규 채용을 위한 여건 마련을 위해서’(4.2%) 등을 이유로 들었다.

 

목표 구조조정 인력은 전체 인원 대비 19.6%로 적지 않은 수준이었다.

 

이들 기업의 인력 구조조정 방식은 권고사직’(72.3%,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희망퇴직/명예퇴직’(30.3%), ‘정리해고’(11.8%) 순이었다.

 

구조조정은 아니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휴직을 실시하는 기업들도 있다.

전체 응답 기업의 23.8%휴직을 실시했거나 실시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휴직 인력은 전체 인원대비 39.6%, 직원 5명 중 2명 가량인 것으로 집계됐다. 직원 1인당 평균 휴직기간은 ‘4(1개월)’(26%)가 가장 많았다. 이어 ‘2’(16.3%), ‘3개월’(13.5%) 등의 순이었으며, ‘6개월 이상의 장기 휴직도 10.6%나 됐다.

 

휴직 유형은 유급휴직이 52.9%로 무급휴직(47.1%)보다 많았다.

 

한편, 전체 기업(437개사) 64.1%는 코로나19 사태로 인건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인건비 절감을 위해 구조조정이나 휴직 외에 신규 채용 중단'(42.1%, 복수응답), ‘임금 삭감 또는 동결’(42.1%), ‘초과근무 미실시(수당 미지급)’(20%), ‘성과급 지급 중단’(18.6%), ‘직무 순환 배치’(11.8%) 등을 계획하고 있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