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기업대출 연체율 7조 3000억원… 은행권 건전성 비상등

2024.06.13 12:49:45

역대 최고 수준의 기업대출, 올 4월말 현재 약 1345조원 달해


[KJtimes=정소영 기자] 역대 최고 수준의 기업대출과 연체 규모 역시 전년 동월 대비 50% 가까이 증가한 가운데 업황부진과 매출 감소로 힘들어하는 개인사업자의 연체 증가율이 급증하면서 상환능력 부족에 따른 폐업 등 부실화 확산으로 은행권 건전성에 비상등이 켜졌다.
 
국내 기업대출 규모가 코로나19 시기에도 줄지 않은 채 매년 증가해 현재 금융감독원이 관련 통계를 보도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기업대출이 발생했고, 연체 규모 역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에서 금융감독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기업대출 현황'을 살펴보면, 올 4 월말 현재 기업대출 규모는 1344조 8000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말 906조 5000억원에서 2020년말 1020조 5000억원으로 늘었으며, 2021년말 1113조 6000 억원이었는 대출금이 2022년말 1221조 7000억원으로 1100조 가량 늘었다. 이어 2023년말에는 85조원이 증가한 1305조 3000억원이었으며, 2024년 4월말 기준 40조원이 늘어난 1344조 8000억원이다. 이처럼 코로나 19 펜데믹 기간에도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4년 4월말 기준 기업대출 규모인 1344조 8000억원은 금융감독원이 대출 규모를 보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20년 동안 최대 규모다.



◆ 개인사업자의 연체 증가율 급등에 폐업 등 부실화 확산...은행권 건전성 우려
 
4월말 현재 기업대출 규모를 구성별로 살펴보면 △ 중소법인이 606조 4000억원 (45.1% / 118만 7800 건) 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 개인사업자 453 조 1000원 (33.7%/433만 100건 ), △ 대기업 285조 3000억원 (21.2%/3만 3400건 ) 순이다 .
 
은행별 기업대출 규모를 살펴보면 ▲ 기업은행이 246조 7000억원(18.3%/96 만 940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 국민은행 170조 4000억원(71만 3000건) ▲ 하나은행 166조 9000억원(79만 9000건) 등의 순이다.

시도별 기업대출 현황을 살펴보면 ▲ 서울이 560조 2000억원(41.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 세종 262조 7000억원 ▲ 인천 91조 9000억원 등의 순이다.
 
문제는 역대 최대 규모 기업대출에 맞춰 연체 역시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대출 연체 규모는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3년말 4조 1000억원(3 만 1200건)에서 2020년말 3조 5000억원(2만 4300건), 2021년말 2조 9000억원(2만 4600건)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2022년말 3조 2000억원(4만 9500건), 2023년말 5조 3000억원(9만 6100건), 2024년 4월말 7조 3000억원(11만 2500건)으로 최근 급증 하고 있다.
 
기업대출 구성별 연체 규모를 살펴보면, 중소법인 기업대출 연체금액이 4조 2000억원(57.5%)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개인사업자 2조 8000억원(38.4%), 대기업 3000억원(4.1%) 순이다.
 
기업대출의 연체 규모 증가는 전년 동월 대비를 통해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4월말 기업대출 연체액은 4조 9000억원이었으나 2024년 4월말에는 7조 3000억원으로 49.4% 증가했다. 더욱이 개인사업자의 대출 연체액은 2023년 4월말 1조 8000억원에서 2024년 4월말 2조 8000억원으로 53.6%나 급증했다.
 
강민국 의원은 "역대 최고 수준의 기업대출에 연체 규모 역시 전년 동월 대비 50% 가까이 증가하는 가운데 업황부진과 매출 감소로 힘들어하는 개인사업자의 연체 증가율이 가장 커 상환능력 부족에 따른 폐업 등 부실화 확산으로 은행권 건전성에 비상등이 켜지지는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감독원은 연체우려 차주 등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은행권의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를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 및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정소영 기자 jsy1@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