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작년 높은 수요에 김 산지 가격 2배 증가”

2025.01.14 14:34:45

[KJtimes=김봄내 기자]높은 수요 대비 공급이 소폭 늘어난 영향으로 지난해 김류의 산지 가격은 전년대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양식장이 집중된 전남은 김 가격 상승에 힘입어 위판액이 3,742억 원 증가했다.

 

 

 

반면, 제주는 갈치 생산량이 줄어 위판액이 435억 원 감소했다.

 

 

 

수협중앙회(회장 노동진)2024년 전국 수협 산지 위판장 214곳의 경매실적을 잠정 집계한 이 같은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4년 김류의 위판량은 536t으로 전년대비 4%(23t) 증가했지만, 위판액은 6,153억 원에서 11,591억 원으로 88%(5,438억 원) 증가했다.

 

 

 

1kg당 단가로 환산하면, 20231,199원에서 20242,163원으로 2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수산물 수출 품목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김에 대한 연간 국내외 수요가 높아지고 있지만,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김 가격이 높아진 것이라고 수협중앙회는 분석했다.

 

 

 

 

김 양식 주요 생산지인 진도군수협은 이 같은 높은 김 가격 형성으로 지난해 위판액은 2023년보다 1,387억 원 늘어 3,024억 원을 달성했다.

 

 

 

이에 따라, 전국 91곳의 수협 중 연근해 수산물을 위판하고 있는 78곳 가운데 위판액 기준 1위로 올랐다.

 

 

 

또한, 이 수협은 작년 한 해 위판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으로도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1위였던 민물장어양식수협(2,966억 원)2위를 차지했고, 제주어류양식수협(2,824억 원), 고흥군수협(2,732억 원), 신안군수협(2,294억 원)이 그 뒤를 이었다.

 

 

 

갈치류는 지난 한 해 동안 위판량과 위판액 모두에서 감소 폭이 가장 높은 어종으로 나타났다.

 

 

 

멸치류(-365억 원), 오징어류(-314억 원), 삼치류(-260억 원) 순으로 위판액 감소가 컸다.

 

 

 

202352t이었던 갈치류는 지난해 35t으로 33%(17t) 줄었고, 위판액도 4,307억 원에서 3,158억 원으로 1,149억 원 감소했다.

 

 

 

갈치가 주로 잡히는 제주 관내 수협은 이 영향으로 전체 위판액이 7,407억 원에서 6,972억 원으로 435억 원 감소하며 위판액 최대 감소 지역으로 조사됐다.

 

 

 

김 양식장이 밀집된 전남이 김 위판액 증가에 힘입어 2023년보다 3,742억 원 상승한 21,635억 원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위판고를 달성한 지역으로 분류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위판액이 가장 높은 어종은 김류(11,591억 원)로 뱀장어(4,496억 원), 갈치류(3,158억 원), 게류(3,003억 원), 넙치류(2,895억 원)도 상위 어종에 포함됐다.

 

 

 

지난해 전국 수협의 위판량은 전년(1106t)대비 17t 감소한 1089t으로 위판액은 46,767억 원에서 51,092억 원으로 4,325억 원 증가했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연근해 수산물 생산량이 소폭 감소한 영향으로 산지 가격도 다소 높아지고 있다수산물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자체 어가 지원은 물론, 국가적 지원도 지속 건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