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담당자 10명 중 4명, 채용 시 출신학교 등 후광효과 체감”

2017.08.07 09:52:40

[KJtimes=김봄내 기자]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4명은 인재 채용 시 후광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광효과란 대상의 두드러지는 특성이 다른 특성의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뜻한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221명을 대상으로 채용 시 후광효과 체감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43.4%체감한다라고 답했다.

 

후광효과는 지원자의 경력사항(출신기업 등)’(54.2%, 복수응답)에서 가장 많이 느낀다고 답했다. 계속해서 출신학교’(28.1%), ‘자격증’(21.9%), ‘외모’(21.9%), ‘최종학력’(20.8%), ‘외국어 능력’(17.7%), ‘전공’(13.5%), ‘해외경험’(11.5%), ‘취미 및 특기’(9.4%), ‘나이’(9.4%), ‘부모의 배경’(7.3%), ‘학점’(6.3%), ‘결혼여부’(5.2%) 등의 순서로 답변했다.

 

출신학교에 대한 후광효과는 ‘SKY 등 명문대’(70.4%, 복수응답) 조건일 때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울 소재 4년제’(25.9%), ‘KAIST 등 특성화 대학’(25.9%), ‘해외 대학’(18.5%), ‘명문 고등학교’(3.7%)의 순이었다.

 

후광효과는 서류전형’(53.1%)에서 면접전형’(46.9%)보다 더욱 많이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이러한 후광효과가 채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후광효과를 느낀다고 답한 기업 인사담당자(96) 69.8%는 후광효과로 지원자에게 가산점을 준 경험이 있었다. 가산점을 준 이유로는 회사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많아 보여서’(43.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지원자의 여러 부분을 판단할 수 있어서’(34.3%), ‘왠지 뛰어날 것처럼 느껴져서’(23.9%), ‘사회 통념적인 판단에 의해서’(16.4%), ‘무의식적인 선입견에 의해서’(10.4%), ‘과거에 비슷한 예를 본 적이 있어서’(9%) 등이 있었다.

 

이들 중 89.6%는 실제 후광효과로 인해 합격한 지원자가 있다고 답변했다. 후광효과가 전체 채용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46.7%로 집계되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채용을 담당하는 면접관 역시 사람이기 때문에 후광효과로 인한 선입견이 평가에 반영될 여지가 충분히 있다.”라며, “면접관 스스로 선입견을 배제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기업 차원에서도 각 전형 별로 명확한 평가기준과 평가표를 제공하는 등 공정한 평가를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