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비즈니스] 파괴적 혁신을 주도하는 이유

10년새 글로벌 10대사 7개사가 플랫폼 기업, 지배력 확산시키는 '테크 자이언트'

[KJtimes=김승훈 기자]아마존, 유튜브, 안드로이드. 일명 '테크 자이언트'로 불리는 플랫폼 기업들이 현재 산업 주도권을 쥐고 있는 모습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로 거대 플랫폼 기업들이 다양한 분야의 시장을 장악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기반의 사업전개와 확장을 통해 산업을 장악하는 플랫폼 비즈니스는 한동안 덩치를 키우며 영향력과 지배력을 가속화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삼정KPMG가 발간한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공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9월30일 기준 글로벌 시총 10대 기업 중 7개가 플랫폼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 페이스북, 알리바바, 텐센트 등으로 이들의 시가 총액 합산액은 5조1243억 달러 규모였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역시 2018년 말 기준 상위 242개 플랫폼 기업의 시가총액은 7조1760억 달러에 달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9년까지만해도 전세계 시가 10대 기업중 플랫폼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미국), 알파벳(미국) 단 두 곳뿐이었다. 당시 시총 10위 안에는 페트로차이나(중국, 석유), 엑손모빌(미국, 석유), 중국공상은행(중국, 금융), 월마트(미국, 유통), 중국건설은행(중국, 금융), BHP그룹(호주, 자원), HSBC홀딩스(영국, 금융), 페트로브라더스(브라질, 석유) 등 석유사와 금융사들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었다.

삼정KPMG는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과 함께 플랫폼의 영향력이 가속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플랫폼 비즈니스가 부상하고 있다"며 "플랫폼을 주 사업으로 하는 아마존, 알리바바, 우버 등이 플랫폼 비즈니스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플랫폼을 부가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플랫폼의 5대 특징, 파괴적 혁신을 주도하는 플랫폼 비즈니스

기차를 탑승하는 플랫폼 공간으로부터 유래한 '플랫폼'은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돼 상호 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과 산업 생태계 기반의 장’으로 정의된다게 삼정KPMG 측 설명이다.

실제 Bresnahan&Greenstein은 서로 다른 최신 기술들을 조합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연결된 시장을 형성하는 기기로 정의했고, Gawer&Cusumano는 MS 윈도, 애플 iOS, 구글 안드로이드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앱스토어(App Store), 구글 검색 엔진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예로 들며 다른 기업이 함께 참여해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개방성과 비즈니스 생태계를 강조했다.

그렇다면 플랫폼의 특징은 무엇일까. 우선 플랫폼에서는 산업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비즈니스간 융합과 사업 확장 및 다변화 현상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일례로 일본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인 라쿠텐(Rakuten)은 일본 최대 인터넷 쇼핑몰인 라쿠텐을 운영하며, 동시에 신용카드, 증권, 은행 등 금융·핀테크 서비스와 함께 여행산업(라쿠텐 트래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 알리바바도 전자상거래로 사업을 시작해 핀테크, 동영상 스트리밍 등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또 플랫폼은 공급자와 수요자, 광고 기업, 하드웨어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사 등을 포함한 생태계에 기반한다는 특징이 있다. 참여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과 혁신, 생태계에서 창출되는 가치가 플랫폼 생태계의 성패를 좌우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플랫폼은 양면(다면) 플랫폼에 속하며, 이는 간접·직접 네트워크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고 ▲플랫폼 참여자의 규모에 따라 플랫폼 가치가 결정되며 ▲참여자 증가가 또 다른 참여자를 불러오면서 유저 락인(Lock-in)과 플랫폼 지배력 강화 현상 발생하는 '승자독식 수익구조'를 갖는 등의 특징이 있었다.

◆"향후 10년간 디지털 경제 60~70%가 네크워크 및 플랫폼서 발생"

사실상 플랫폼을 활용한 비즈니스는 어느날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다. 온라인에서 물건을 사고 팔고, 취업을 알선하는 사이트 등도 광의적인 범위에서 플랫폼이라 볼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랫폼이 발전한것은 기술기반이 생기면서부터다. 

삼정KPMG는 "기업들은 인터넷 망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전 세계 이용자를 집결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게 됐고 스마트폰과 간편결제 시스템 확산이 플랫폼 내에서 거래와 결제 기능을 편리하게 만들었다"며 "평점 및 리뷰 시스템은 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여줬고, 플랫폼 내 수익 구조와 인센티브 메커니즘은 플랫폼만이 갖는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잡게 됐다"고 설명했다.

플랫폼 비지니스는 장미빛 전망마저 드리우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2025년경 디지털 플랫폼이 창출할 매출액이 60조 달러로, 전체 글로벌 기업 매출액의 30%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5G 등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이 플랫폼 영향력과 지배력을 가속화시키면서 다양한 방식의 플랫폼이 나타나 경쟁할 것으로 전망되는 중이다. 플랫폼 확산 영향을 크게 받을 산업 분야로 모빌리티, 유통, 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등이 꼽히고, 세계경제포럼은 향후 10년간 디지털 경제에서 창출될 새로운 가치의 60~70%가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네트워크와 플랫폼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동근 삼정KPMG 디지털본부 상무는 "기업이 플랫폼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펼치려면 대내외 비즈니스 환경 분석을 통한 플랫폼 전략 방향성 수립이 필수"라며 "플랫폼 참여자 이해에 기반해 감동적인 고객 경험을 제공해야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장+]인권위로 간 '이마트 여성노동자 인권유린' 논란
[KJtimes=정소영 기자]# 2016년 이마트 해운대점에서 근무하는 계산원에게 벌어진 고객의 욕설·폭언·성희롱 사건에서 피해 여사원을 보호조치 했다는 사측의 답변과 달리 해운대점 관리자들이 여사원의 피해 호소를 외면하고 2차 가해가 발생한 사실이 녹취로 드러나 사회적 공분을 산 바 있다. 당시 피해 여사원은 대형마트 최초로 감정노동으로 인한 산재로 인정받았다. # 2019년 이마트 포항이동점에서 20여 명의 여사원이 관리자로부터 수년간 폭언과 막말, 공개적인 모욕 등 괴롭힘을 당해왔다고 회사 측에 알리고 가해자와 분리 조치를 요구했으나 회사는 관리자의 무뚝뚝한 성격으로 발생한 일일 뿐이라며 피해자와 가해자가 수개월 동안 함께 더 근무하도록 해 2차 가해를 방치하고 방조했다. 결국 직장 내 괴롭힘 시행 첫날 노동부에 사건을 접수했고, 이마트 사측이 가해 사실이 없다고 주장한 관리자는 직장 내 괴롭힘 사실이 인정돼 인사 조치됐다. # 2021년 이마트 트레이더스 월계점에서 발생한 50대 여사원에 대한 30대 남성 관리자의 폭언과 막말 사건에서도 이마트는 2차례 자체 조사 결과 모두 직장 내 괴롭힘 사실이 없다며 가해 관리자와 피해 여사원을 5개월간이나 한 부

[코로나 라이프] 코로나 이후 바빠진 경찰…112 '주취자' 신고 많아져
[KJtime김지아 기자] "이제 늦은 밤 거리에서 술취한 사람들을 볼 수 있게 됐어요. 코로나19가 정말 없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술취한 사람이 싫지만 신기하다고 생각했어요." 서울 신당동 주민인 대학생 최모씨의 소감이다.정말 코로나19가 끝나가는 걸까.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최근 수도권을 비롯한 지역마다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는 112 신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늦은 밤 취객 증가…고성방가에 주택가도 깜짝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전히 해제됐다. 젊은이들이 많이 몰리는 서울 홍대거리, 종로, 강남에서는 최근 늦은 밤 술취한 사람들이 자주 목격되고 있다. 택시를 잡는 사람들, 거리 흡연 구역에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 이런 풍경들이 반갑기도 하지만, 관련112신고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늦은 밤, 코로나19가 끝나는 엔데믹 시대가 접어들면서 답답함을 벗어던지고 자유로움을 만끽하려는 젊은 남여들의 모습들이 많다. 아직 마스크에서는 자유롭지는 않지만 늦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거리를 걷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술집의 불빛과 노랫소리가 흘러나오는 풍경은 흡사 '이제 코로나19는 끝났고, 지금 이 순간 만큼은 코로나 이전 시대로 돌아왔다

[생태계&공존] 뜬장에 갇혀 살던 사육곰 자유찾았다
[KJtimes=정소영 기자] 사유곰들이 자유를 찾았다. 한 달여 적응 기간을 마치고 드디어 임시 계류장에서 드넓은 생크추어리로 나갔다. 동물자유연대에 따르면 미국 현지 시각 4월 28일 미국 콜로라도 남부의 생크추어리(TWAS)에서는 한국에서 온 사육곰 10마리가 방사됐다. 한 달 전 평생을 쇠 파이프 뜬장에 갇혀 살았던 곰들이 흙바닥을 밟아보는 신기한 첫 경험한 것이다. 사육곰은 열린 문을 통해 세상으로 나아가는 걸음이 두렵고 생소한 듯 머뭇거렸다. 어떤 곰은 쭈뼛쭈뼛 임시계류장에서 한 걸음 한 걸음 조심스럽게 발을 내디뎠고, 어떤 곰은 호기심 가득한 경쾌한 발걸음으로 뛰어나와 여기저기 냄새를 맡으며 새 보금자리를 탐색했다. 잠시 머뭇거리는 곰도 있었지만, 이내 곰들은 모두 숲으로 들어갔다. 한국에서 출발할 당시 피부병으로 털이 듬성듬성 빠져있었던 곰들은 몸에는 한 달여 사이 새털도 나오는 등 모두 건강을 회복했다. 동물자유연대는 “많은 시민이 걱정해준 오스카와 글로리아도 무척 잘 적응하며 건강하고 행복한 모습으로 생활하고 있다”며 “현재 오스카와 글로리아는 자연 생크추어리보다는 관찰과 돌봄이 가능한 덴버의 생크추어리에서 보호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