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부산해항청, 日방사능오염수 부산항 유입 차단

東日本大震災で被災した福島第1原子力発電所から放射能汚染水が海に放出されたことと関連し、釜山地方海洋港湾庁は15日、釜山港と日本の東北部の港を往来する船舶のバラスト水の放射能汚染調査を今月末まで実施する予定だと明らかにした。
 

バラスト水は、船底に積む重し(バラスト)として用いられる水。出港地で海水を汲み上げ利用し、到着港で排出する。
 

調査対象は、茨城県日立港、福島県小名浜港、相馬港、宮城県仙台塩釜港、青森県八戸港。これら5港を出港した船舶が釜山港に入港する前にバラスト水を採取し、韓国原子力安全技術院で放射能汚染がないか調べる。
福島原発事故の後、これら東北部の港からの船舶運航は事実上中断されている。東北部の港からの船舶がない場合、東京、横浜、大阪、神戸から釜山港に入港する船舶に対してもバラスト水調査を行う予定だ。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로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배출된 것과 관련 부산항만당국이 부산과 일본 동북부 항만을 오가는 선박에 실린 선박 평형수가 방사능에 오염됐는지 조사하기로 했다.

 

선박 평형수란 배가 운항할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화물 무게만큼 배에 넣어두는 물을 말한다.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이달 말까지 일본 동북부 항만과 부산항을 오가는 선박의 선박 평형수를 채취, 방사성 물질 오염도를 조사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출항지 항만에서 바닷물로 채우는 선박 평형수는 도착항에서 바다에 배출하게 된다. 이번 조사는 일본 동북부항만에서 부산항으로 온 선박이 현지 바다에서 뜬 바닷물을 선박 평형수로 쓴 뒤 부산항에 버릴 경우 부산항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실시되는 것이라고 부산해항청은 설명했다.

 

조사 대상 항만은 히타치(Hitachi)항과 오나하마(Onahama)항, 소마(Soma)항, 센다이 시오가마(Sendai shiogama)항, 하치노헤(Hachinohe)항 등 5곳이다.

 

부산해항청은 이들 항만을 출발한 선박이 부산항에 입항하기 전 선박 평형수를 채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보내 방사성 물질 오염 여부를 조사하게 된다.

 

일본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 오염 공포로 부산에서 일본 동북부항만을 오가는 선박 운항이 사실상 중단됐기 때문에 방사능 오염수가 선박 평형수로 부산항에 유입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부산해항청은 보고 있다.

 

부산해항청은 일본 동북부항만에서 온 선박이 없으면 도쿄나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항에서 부산항으로 입항한 선박에 대해서도 선박 평형수 오염 조사를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공유경제 CEO-짐 캐리 손진현]“커지는 공유 시장, 공유경제 정의부터 마련해야”
[KJtimes=김승훈 기자]여행이 일상화된 시대지만 무거운 짐을 들고 다니기에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러나 공유 경제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즉, 공항이나 기차역에서 자신의 짐을 운반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받아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공유경제 스타트업 짐 캐리(ZIM CARRY)의 손진현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에서 ‘공유경제 기업특강’을 했다. 손 대표에 따르면 짐 캐리는 기차역·공항 수화물 보관과 픽업 서비스를 하는 업체다. 손 대표는 “처음 이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사람들은 ‘이게 왜 공유 경제냐, 공유 기업이냐’는 말을 했다”면서 2021년도 부산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 모집 공고문의 공유경제 기업 유형과 사례를 제시했다. 부산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사업’의 공유자원에 따른 분류를 보면 ▲모빌리티공유(자전거·차량·운송연계 등) ▲공간공유(주차장·숙박·회의 등 비즈니스 공간·사무 공간 등) ▲물품공유(의류·장난감·가전제품·생활용품 등) ▲정보서비스(온라인교육·재능·지식서비스·도서 등)로 나뉜다. 손 대표는 특히 부산 공유경제 활성화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