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이승기, 마력 10종 세트 공개

 

[KJtimes=유병철 기자] 가수 겸 연기자 이승기가 왕자의 마력이 넘쳐나는 10종 세트를 선보이며 레전드 왕자의 자태를 선보였다.

 

이승기는 MBC 수목드라마 더킹 투하츠에서 능청스럽고 뺀질대는 천방지축 남한왕자 이재하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쳐내고 있는 상황. 이승기는 하고 싶은 데로 해야 직성이 풀리는, 제멋대로 날라리 왕자 이재하를 200% 싱크로율로 그려내며 신들린 연기를 펼쳐내 폭풍 호평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이승기는 지난 3회 방송분에서 강대국을 향해 통쾌한 일침을 가하는가 하면, 4회 방송분에서는 왕족으로서의 남모를 고뇌를 토로하며 애틋한 눈물을 흘리는 등 안하무인격인 성격 이면에 새로운 면모들을 드러냈다. 그동안 깐죽거리기와 껄렁함으로 일관돼 왔던 이승기가 색다른 모습으로 숨겨졌던 마력을 발산하며 시청자들을 재하앓이에 빠져들게 하고 있는 것.

 

특히 이승기는 마력 10종 세트를 통해 다부지게 경례자세를 취하는 포스 넘치는 카리스마, 어떤 옷을 입어도 우월함을 뿜어내는 폭풍간지, 고민하고 있을 때의 진지함, 깨알 같은 익살 등 거침없는 매력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승기는 초강력 능청스러움과 능글맞음으로 일관하며 WOC 훈련 중 기습 공격미션을 당하자 의자 뒤로 숨어버리거나 총알 한방으로 손가락을 스치게 해달라는 허당스러운 황당함으로 천방지축 왕자의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는가 하면, 상대방에게 총을 겨누며 날카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던 냉정함,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오기가 발동되면 끝까지 밀어붙이는 박력있는 모습으로 변화무쌍한 남한 왕자 이재하로 완벽 변신해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거기에 자신 때문에 남북단일팀이 해체된 것에 대한 죄책감, 하지원에게 묘한 감정을 느끼는 듯 쳐다볼 때면 드러나는 달달하고 그윽한 눈빛, 하지원과 조정석이 눈싸움을 벌이자 귀엽게 질투심을 느끼는 등 순수하고 해맑은 모습으로 여심을 뒤흔들고 있는 셈이다.

 

그런가하면 이승기가 펼쳐내는 마력 중 단연 으뜸은 바로 환상적인 살인 미소와 활력 넘치는 호탕한 웃음. 시종일관 얼굴에서 떠나지 않는 환한 미소와 큰소리를 내서 웃거나 기쁨을 표현하는 상쾌한 웃음은 천진난만한 매력덩어리 이재하로 100% 녹아든 모습을 고스란히 선보이고 있다.

 

제작사 김종학프로덕션 측은 이승기는 드높은 연기열정으로 이재하 역에 올인, 지금까지 드러내지 않았던 무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앞으로 5, 6회분을 통해 김항아와의 본격적인 러브라인이 시작되는 만큼 이승기가 보여줄 매력들이 무궁무진하다. 더욱 뜨겁고 강력해진 재하앓이가 탄생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더킹 투하츠는 대한민국이 입헌군주제라는 독특한 가상 설정 아래, 우여곡절 끝에 사랑에 빠지게 된 북한 특수부대 교관 김항아(하지원)와 천방지축 안하무인 남한 왕자 이재하(이승기)가 사랑을 완성해나가는 스토리 전개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