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교수진의 경쟁력이 곧 대학의 경쟁력이고 대학의 경쟁력은 바로 국력과 산업의 경쟁력으로 연결된다.”
구 명예회장은 18일 오후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연암해외연구교수 증서수여식'에서 “한국 대학들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지만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이 되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 명예회장은 이어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가 의존할 것은 결국 사람과 기술뿐”이라며 “교수들이 스스로 자기 분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학자가 되고 창의적인 인재를 많이 키워 기업과 사회로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LG연암문화재단은 이사장인 구 명예회장과 구본무 LG 회장, 강유식 LG 부회장, 김반석 LG화학 부회장 등 최고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수여식을 가졌다.
1989년 시작돼 24년째를 맞은 LG연암문화재단의 '연암해외연구교수 지원사업'에는 올해 66개 대학에서 212명이 지원했으며 이 가운데 연구 성과가 뛰어난 교수 30명이 선발됐다.
선발 교수에게는 1인당 연간 3000만원의 해외 연구비가 지원된다. 연암문화재단은 지난해까지 총 627명을 선발해 186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올해 선발된 교수들 중에는 박테리아 로봇을 개발해 세계 3대 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즈 후주후에 등재된 박석호 전남대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와 복지국가 및 빈곤 관련 연구 활동으로 역시 마르퀴즈 후즈후에 이름을 올린 김교성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포함됐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 한림원이 젊은 과학자에게 주는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하고 '국가연구개발(R&D) 우수성과 100선'에도 선정된 권성훈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로부터 '젊은 연구자상'을 받은 백상헌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교수 등도 선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