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해병대 김 상병, ‘일반 관심사병’

韓国北西部の江華島南部にある海兵隊第2師団の部隊内で銃を乱射した上等兵(19)は、注意を要する「一般関心兵士」に分類されていたことが分かった。軍関係者が5日、明らかにした。
 

上等兵は事件当日にも小隊長と面談をしており、部隊員らとの関係は円満ではなかったようだ。「一般関心兵士」とは入隊前の性格検査で危険度が高かったり、部隊生活に適応できない兵士らを指す。
 

軍関係者によると、最初に撃たれた一等兵(20)は上等兵より階級は下だが、年は上だった。上等兵は年上の一等兵が自分に対する態度が悪いとし、摩擦が多かったという。
 

また、個人ロッカーで発見された上等兵のメモ帳には、「自分のことが嫌い。問題児だ。わたしを変えようとする人は1、2人ではない」と書き込まれていたとされる。
 

国軍大田病院に運ばれた上等兵は供述を拒否して暴れ、鎮静剤や睡眠剤などを飲ませて寝かせており、まだ具体的な調査はできていない。
 

上等兵は4日午前11時50分ごろ、部隊内で小銃を乱射して兵士4人を死亡させ、1人にけがを負わせた。海兵隊は1次調査の結果、事件発生当時、部隊員らは夜間勤務を終え就寝中だったとし、死亡した兵士らも睡眠中だったと説明した。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4일 해병대 2사단의 강화군 해안 소초에서 K-2 소총을 난사한 김모 상병(19)은 부대에서 일반 관심사병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5일 "김 상병이 부대에서 일반 관심사병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사건 당일 아침에도 소대장과 면담을 했다"면서 "부대원들과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것 같다"고 밝혔다.

 

일반 관심사병은 입대 전 인성검사에서 위험도가 높게 나오거나 부대 생활을 하면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병사들이다.

 

이 관계자는 "김 상병은 가장 먼저 총에 맞은 권승혁 일병(20)이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자신에게 공손하게 대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잦은 마찰을 빚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 상병의 개인사물함에서 발견된 메모장에 "내가 싫다. 문제아다. 나를 바꾸려고 하는 사람이 한두 명이 아니다"면서 "학교에서 선생님에게 반항했던 사회성격이 군대에서 똑같이 나오는 것 같다. 선임들이 말하면 나쁜 표정 짓고 욕하는 내가 싫다"라는 식의 글이 적혀 있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김 상병이 K-2 소총을 발사할 당시 내무반에는 8명이 있었고 이 가운데 권 일병과 박치현 상병(21)이 총에 맞아 사망하고 부상한 권혁 이병이 김 상병을 제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한 이승훈 하사(25)는 부소초장실에서, 이승렬 상병(20)은 내무반 밖 전화부스 인근에서 뛰어나오다 총에 맞은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김 상병이 작심하고 특정 인물을 지정해 발사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상병은 국군대전병원에서 진술을 거부하면서 난동을 부려 진정제와 수면제 등을 맞고 잠을 자고 있어 직접 대면 조사는 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병대는 이날 오전 중으로 전날 이뤄진 조사내용을 발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