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슈주 ‘함께 하고 싶은 한류 스타’

韓国観光公社は13日、8言語で運営している同公社のウェブサイトの会員、102カ国・1万2085人を対象に実施したアンケートの結果を発表した。最も興味のある韓流の分野として53.3%がK-POPを挙げ、テレビドラマは32.5%、映画は6.2%だった。
 

「韓国旅行に一緒に行きたい韓流スター」にはSUPER JUNIORが13.3%と最多の支持を得た。次いで、BIGBANG(8.6%)、JYJ(6.7%)、東方神起(5.3%)、少女時代(4.0%)の順だった。俳優ではチャン・グンソク(6位)とヒョンビン(9位)がトップ10に入った。
 

日本語圏の会員からは俳優ペ・ヨンジュンが1位で、K-POPよりテレビドラマに対する関心が高かった。
 

英語圏と中国語圏ではSUPER JUNIORが、フランス語圏とスペイン語圏ではBIGBANGが1位だった。ドイツ語圏とロシア語圏ではそれぞれ女優キム・テヒと歌手兼俳優のRAIN(ピ)が最も多くの支持を集めた。
 

韓流スターと一緒に旅行したいところではソウルと済州島が最多。スターと一緒にしたい活動ではコンサートや撮影現場の見学、観光名所への旅行、伝統文化体験などが選ばれた。
 

アンケート回答者の76.6%はアジア人で、欧州人は17.9%だった。性別では女性が89.6%、年齢別では20代が48.7%、30代が18.3%、10代が17.0%だった。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외국인들은 가장 관심있는 한류 분야로는 가요(K팝)를, 함께 한국여행을 하고 싶은 한류스타로는 아이돌 그룹 슈퍼주니어를 꼽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8개 언어로 운영하는 웹사이트 비지트코리아(www.visitkorea.or.kr) 회원인 102개국 1만2천85명에게 한류 관심 분야를 물은 결과 53.3%가 K팝을 꼽아 TV드라마(33.2%)와 영화(6.2%)를 앞질렀다.

 

'함께 한국을 여행하고 싶은 한류스타'로는 13.3%가 슈퍼주니어를 골랐으며 다음으로는 빅뱅(8.6%), JYJ(6.7%), 동방신기(5.3%), 소녀시대(4%) 순이었다.

 

10위 안에 가수 출신이 아닌 배우는 장근석(6위)과 현빈(9위)뿐이었다.

 

언어권별로 차이가 있어 슈퍼주니어는 영어권과 중국어권에서 1위를 차지했고 프랑스어권과 스페인어권 1위는 빅뱅이었다.

 

독일어권과 러시아어권 1위는 각각 김태희, 비였다.

 

일본어권에서는 1위 스타가 배우 배용준이었고 다른 언어권과 달리 K팝보다 TV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훨씬 컸다.

 

'한류 스타와 함께 여행하고 싶은 곳'으로는 서울과 제주도가 가장 많았으며 '스타와 같이 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콘서트나 방송 촬영현장 참관 외에도 관광명소 여행, 전통문화 체험이 꼽혔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의 응답자 76.6%는 아시아인이었으며 최근 K팝 열풍이 불기 시작한 유럽에서도 17.9%가 참여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89.6%에 달했고 연령별로 20대 48.7%, 30대 18.3%, 10대 17% 순이었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