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50대 여성 고용률, 20대 추월

雇用市場で「40・50代女性」の進出が目立っている。50代女性は20代男女の雇用率を上回り、40代女性の雇用率はほぼ30年ぶりの高水準を記録した。
 

韓国統計庁が19日に公表した資料によると、4~6月期の50代女性の雇用率は59.3%で、1992年7~9月期(60.1%)以来の高水準となった。
 

雇用率は、4~6月期の20代男性(58.5%)、20代女性(59.2%)だけでなく、20代全体の雇用率(58.9%)も上回っている。50代女性の雇用率が20代より高くなったのは、1983年7~9月期以来となる。
 

これは、大学進学率の上昇などで20代男性の雇用率が下落したのに対し、学費や老後の貯蓄のために働く母親の比率が相対的に上昇したことが原因とみられる。
 

こうしたことから、50代女性の就業者数は4~6月期に209万3000人と、初めて200万人を突破。2001年の4~6月期(121万7000人)に比べ72%の急増を記録した。
 

一方、40代女性の雇用率も上昇している。4~6月期の雇用率は65.9%で、1983年7~9月期(66.4%)以来の高水準となった。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고용시장에 '4050' 여성의 바람이 거세다.

 

50대 여성은 처음으로 20대 남녀 고용률을 동시에 추월, 어머니가 일하는 비율이 청년 자녀를 앞서는 기현상을 연출했다.

 

40대 여성 고용률은 거의 3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 50대 여성 고용률은 59.3%로 1992년 3분기(60.1%) 이후 최고였다. 50대 여성 10명 중 6명이 일자리를 가졌다는 얘기다.

 

이는 같은 시기 20대 남성(58.5%), 여성(59.2%)은 물론 20대 전체 고용률(58.9%)보다 높은 것이다. 20대 남성 고용률을 앞지른 것은 해당 통계를 집계한 1980년 이래 , 20대 전체 고용률을 웃돈 것은 1983년 3분기 이래 처음이다.

 

2분기 기준으로 50대 여성 고용률은 2000년 53.9% 이후 2006년까지 52.9~55.2%에 머물다가 2007년 56.0%, 2008년 57.5%로 올랐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56.8%로 잠시 떨어졌지만 2010년 58.3%에 이어 올해 59.3%로 뛰어올랐다.

 

반면 20대 전체 고용률은 2000년 60.2%(이하 남성 66.3%) 이후 2007년까지 60.1~61.8%(60.7~65.7%)에서 등락하다가 2008~2011년 59.6%(59.6%), 59.2%(59.7%), 59.1%(59.0%), 58.9%(58.5%)로 4년째 내리막을 걸었다. 20대 성별로는 남성 고용률 하락이 두드러진 반면 여성은 60% 선까지 오르면서 최근 남녀 간 역전이 이뤄졌다.

 

20대 자녀를 많이 둔 50대 어머니의 고용률이 아들딸보다 높아진 것은 20대 남성 고용률이 대학 진학률 상승 등에 따라 하락한 반면 일하는 어머니의 비율은 교육비나 노후자금 부담 등으로 상대적으로 높아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50대 여성 취업자는 2분기 209만3천명으로 처음 200만명을 넘어서면서 10년 전인 2001년 2분기(121만7천명)보다 72%나 늘어났다. 전체 여성 취업자 중에 5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2분기 13.30%에서 올해는 20.29%로 처음 20%를 넘었다.

 

아울러 40대 여성도 고용시장에서 약진했다. 2분기 고용률은 65.9%로 1983년 3분기(66.4%) 이후 가장 높았다. 1980년대 초만 해도 농림어업 비중이 컸다는 점을 감안하면 산업구조가 고도화된 이후 최고 수준이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