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김연아 연간수입, 세계 女스포츠스타 중 8위

米経済誌「フォーブス」電子版が2日に発表した世界の女性スポーツ選手の長者番付で、フィギュアスケートの金妍児(キム・ヨナ)選手は8位に入った。
 

長者番付は昨年7月からの1年間に各選手が獲得した大会賞金、出演料、広告・ライセンス収入などを合算して算出したもので、金選手の年間収入は1000万ドル(約7億7300万円)と集計された。
 

フォーブスは当初、金選手の収入を、5位に入ったベルギーのテニス選手、キム・クライシュテルス(1100万ドル)と同額と発表していたが、後に1000万ドルに修正した。金選手は、バンクーバー冬季五輪で金メダルを獲得した昨年の同調査では、970万ドルの収入で5位に入っていた。
 

一方、1位は2500万ドルの収入を得たロシアのテニス選手シャラポワだった。

 

聯合ニュース

 


 

한국어

 

'피겨 여왕' 김연아(21•고려대)가 지난 1년 동안 전 세계 여성 스포츠스타 중 여덟 번째로 많은 돈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2일 인터넷판에서 세계에서 가장 수입이 많은 여성 스포츠스타 10명을 소개하면서 김연아를 여덟 번째로 올렸다.

 

포브스는 2010년 7월부터 12개월 동안 각 선수가 번 대회 상금과 출연료, 광고 및 라이선스 수입 등을 합산한 결과 김연아가 1천만 달러(약 105억원)를 모은 것으로 집계했다.

 

김연아는 동계 종목 선수 중에는 유일하게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포브스는 김연아에 대해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운동선수"라고 소개했다.

 

이어 "김연아는 지난해 자신을 관리해 줄 매니지먼트사를 직접 차렸다"면서 "이 매니지먼트사는 한국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아이스쇼를 열었다"고 설명했다.

 

포브스는 애초 김연아의 수입을 5위 킴 클리스터스(벨기에•1천100만 달러)와 같고 6위인 서리나 윌리엄스(미국•1천50만 달러)보다 많은 1천100만 달러로 추산하고도 김연아를 7위에 올렸다.

 

그러나 나중에 김연아의 수입 추산액을 1천만 달러로 하면서 순위도 8위로 정정했다.

 

포브스는 정정 자료에서 7위에 오른 '테니스 스타' 리나(중국•1천만 달러)와 김연아의 수입을 같게 적었지만 공동 7위에 두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포브스는 아무런 설명을 붙이지 않았다.

 

김연아는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는 970만 달러의 수입으로 전체 5위에 올랐다.

 

한편 러시아의 테니스 스타 마리아 샤라포바가 이번 조사에서 2천500만 달러(약 262억원)를 번 것으로 나타나 전체 1위에 올랐다.

 

샤라포바는 무려 7년 연속으로 최고 자리를 지켰다.

 

여자프로테니스(WTA) 세계랭킹 1위 캐롤라인 워즈니아키(덴마크)가 샤라포바의 절반에 불과한 1천250만 달러를 벌어 전체 2위에 올랐고, 여성 드라이버 대니카 패트릭(미국)이 1천200만 달러의 수입으로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