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견재수 기자] 삼표그룹 정도원 회장이 사업장 근로자 사망사고와 문화재 훼손 논란에 휩싸이며 여론의 뭇매를 맞는 분위기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새해부터 국회 법사위를 통과한데다 문화재 훼손 우려를 낳고 있는 국보가 불교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삼표그룹의 무리한 사업추진이 예상치 못한 역풍에 시달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달 16일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소재 석회석 광산이 붕괴되는 사고로 작업 중인 40대 근로자 A씨가 목숨을 잃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작업장은 삼표시멘트의 계열사가 운영하는 곳으로 붕괴 당시 안전을 담당하는 직원 없이 A씨 혼자 일하다 참변을 당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A씨는 소방당국의 구조 작업이 시작된지 약 10시간 만에 발견됐지만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사고 직후 경찰은 원인 조사에 착수했고 감독 기관은 운영사인 삼표자원개발에 정밀 안전 진단을 명령했다.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한지 20여일이 지난 1월 5일경 유족은 청와대 국민청원에 ‘한 가정의 가장인 아빠의 참혹한 죽음을 알립니다. 도와주세요’라는 글을 올렸다.
유족에 따르면, A씨는 광산 발파로 석회석을 채굴하고 난 다음 기타 잔여물을 굴삭기로 정리는 작업을 담당했는데, 사고 당일에도 해당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오후 1시쯤 굴로 들어갔다 10분 만에 매몰됐다.
발견 당시 A씨는 굴삭기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매몰된 상태였는데, 유족은 붕괴조짐을 느끼고 빠져나오려던 A씨가 미처 나오지 못 한 채 매몰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 당시 채굴현장에는 안전요원 한명 없이 A씨 혼자 작업 현장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은 현장에 안전요원 한명이라도 있었다면 주변 상황을 파악해 미리 대응할 수 있었고 A씨도 안타까운 죽음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작업장이 사고에 취약한 광산인데 하청업체가 굴삭기 종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로 (A씨를) 작업장에 투입시켜 아빠가 위험에 노출된 채 일을 했다’며 ‘채굴업자는 붕괴 사고에 취약한 상태인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고 후 원청은 본사 소속이 아니라서 그런지 나몰라라하고 있고 하청업체인 채굴업자는 얼토당토하지 않은 금액을 합의금으로 제시하며 일을 빨리 마무리 지으려 하고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삼표시멘트는 지난해 중대재해로 인해 3건의 사망하고와 14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 7월 발생한 협력업체 노동자의 추락사고 당시에도 현장에는 안전책임자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안전불감증 논란이 도마 위에 올랐다.
삼표그룹, 1000년 전 고려시대 제작된 ‘쌍미륵불’ 훼손 우려에도 채석단지 강행(?)
삼표그룹은 지난 2013년 10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일대 8만4458㎡에 채석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문화재청에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신청했다.
그러나 화약발파 작업을 할 경우 문화재 훼손 우려가 높아 불교계와 파주시 반대에 부딪혔고 문화재청 심의위원회를 통과하지 못해 허가가 무산됐다.
채석장에서 불과 260m 거리에는 고려시대 제작된 국가지정 보물 제93호 마애이불입상이 있다. 천연 바위벽을 이용한 국내 유일의 ‘쌍미륵불’로 지방화 된 불상 양식을 연구하는데 보존가치가 매우 높은 문화재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럼에도 삼표그룹은 현재 파주 광탄면 일대 임야 60만4738㎡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 공람공고 등 신규 채석단지 지정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허가 취득에 실패한 터라 이번에는 파주시가 아닌 산림청을 상대로 골랐다. '꼼수'를 쓰는 것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이 나오는 이유다.
뿐만 아니라 7년 전보다 훨씬 더 넓은 채석단지 면적을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표그룹은 지난 1994년도부터 파주시 광탄면 일대에서 채석장을 운영 중이다.
불교계와 지역사회에서는 회사 이익만 탐하는 반문화적 파괴행위라며 비난 수위를 갈수록 높이고 있다. 국내 채석량 1위 기업 삼표그룹과 오너 정도원 회장의 현재 모습이다.
이와 관련해 삼표그룹 관계자와 통화를 시도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