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제철[004020]이 증권가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실제 이 회사는 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자동차 강판 가격 인상으로 실적개선이 가시화됐다는 분석에 장 초반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날 오전 9시 4분 전 거래일보다 2.20% 오른 6만500원에 거래됐다. 이날 대신증권은 현대제철의 목표주가를 7만원에서 7만7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자동차 강판 가격을 t당 6만원 인상하기로 해 연말까지 실적개선 가시성을 확보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대신증권은 또 현대제철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이슈로 현대제철이 보유한 현대모비스[012330] 지분의 활용가치도 부각되는 등 주변 요인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종형 대신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선 2월부터 자동차 강판 가격은 t당 8만원 인상될 것으로 기대했다”며 “하지만 현대·기아차 자동차 판매부진으로 인상폭과 시기가 기대보다 다소 미흡한 수준에서 결정으나 이번 인상 결정으로 가격 인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일각의 우려는 확실히 해소됐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경험적으로 자동차 강판 가격은 한번 조정되면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최
[KJtimes=김승훈 기자]시중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돼 매력이 커지고 있다면서 관련주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제시하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유진투자증권은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KB금융[105560]과 우리은행[000030]을 추천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KB금융의 경우 자회사 100% 내재화로 경상 순이익이 증가하고 이익 안정성도 강화됐다고 평가하고 우리은행에 대해선 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PBR이 0.5배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은행산업의 가장 큰 특징은 5년 동안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마무리되고 NIM이 상승세로 전환됐다는 점”이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해 3차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놓고 보면 하반기에도 이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은행주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51배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0.60배, NIM이 계속 하락하던 2011∼2015년의 평균 0.57배보다도 낮은 수준”이라면서 “은행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감안하면 최소한 최악의 시기였던 0.6배 수준은 적용받을 수 있을 것이고 주가 상승에 따른 투자자의
[KJtimes=김승훈 기자]유가증권시장이 들썩이면서 코스피가 한 번도 밟아보지 못한 고지를 넘어섰다. 코스피가 지수 공표 이후 34년 만에 2300선을 넘어선 것이다. 미국의 뉴욕증시를 비롯한 글로벌증시의 역대 최고치 경신 행진에 동참한 한국증시는 그야말로 후끈 달아오른 분위기다. 그러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주가상승률이 높은 종목으로 쏠리는 모양새다. 그러면 어떤 종목의 주가상승률이 가장 높을까.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주가가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남북경협 수혜주로 분류되는 신원<우>[009275]이다. 지난 1월 2일 시가 1만9600원에서 7만5300원으로 284.18% 급등했다. 그 뒤는 아남전자[008700]와 삼부토건[001470]이 따랐다. 이들 종목은 각각 219.21%와 213.79%의 주가상승률을 보였다. 또 SK증권<우>[001515]와 STX엔진[077970]도 각각 157.96%와 127.75%의 주가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반기문 테마주’로 분류된 성문전자[014910]와 성문전자우선주[014915]는 나란히 하락률 1∼2위를 차지했다. 실제 올해 주가가…
[KJtimes=김승훈 기자]에이블씨엔씨[078520]에 대해 삼성증권과 메리츠종금증권, 대신증권 등 증권사가 긍정적 평가를 내놓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4일 삼성증권은 에이블씨엔씨의 목표주가를 2만7000원에서 3만6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을 시장은 긍정적으로 해석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증권은 에이블씨엔씨가 작년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주식 양도가액이 최근 종가 대비 54% 할증된 가격에 결정됐다는 점에서 시장은 최대주주 변경 이벤트를 긍정적으로 해석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메리츠종금증권은 에이블씨엔씨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가를 2만5000원에서 2만8500원으로 올려 잡았다. 이는 회사의 최대주주 변경으로 주가 상승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최대주주 변경에 따라 국내 유통구조 개선과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 유치 등이 기존보다 적극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에이블씨엔씨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매수’와 3만2000원으로 종전대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가
[KJtimes=김승훈 기자]우리은행[000030]에 대해 대신증권과 HMC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호평가를 내놓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대신증권은 우리은행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만6000원에서 1만7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아울러 이 종목을 KB금융지주와 함께 은행업종 내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우리은행은 1분기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8% 증가한 6375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대신증권은 이에 대해 올해 1분기 추정치를 크게 웃도는 ‘깜짝실적’으로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에 대한 할인요인이 소멸됐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HMC투자증권은 우리은행의 목표주가를 1만7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그러면서 이 회사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 상승이 인상적이었다고 설명했다. HMC투자증권은 고무적인 1분기 실적을 반영해 NIM과 대출 증가율 추정치를 상향 조정해 이익 추정치를 6.7% 올린다며 이에 따라 목표주가도 올리게 됐다고 밝혔다. 최정욱 대신증권 연구원은 “구조조정 조선업체 여신 축소에 따른 충당금 환입 700억원 이외에도 신규 부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 1분기 대손충당금이 790억원 수준으로 감
[KJtimes=김승훈 기자]올해 코스피 상장사들이 불황형 흑자 구조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일 NH투자증권은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질 종목군을 선정했다. 또 대신증권은 이날 최근 코스피 상승에 대해 가격 측면에서 부담스러운 위치까지 상승했지만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이 지속하고 있어 가치평가 부담이 완화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구원(애널리스트) 전망치를 기준으로 추정한 올해 코스피 상장사 매출액은 작년보다 7%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코스피 상장사들이 지난 2∼3년간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에서 올해 벗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올해 상장사들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성장할 것이고 기업들이 외형 측면에서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시작했는데 올해 코스피 매출 전망치는 연초보다 1.6% 상향 조정됐다”면서 “매출 성장률이 두드러질 업종은 에너지, 기계, 정보기술(IT)하드웨어, 철강, 디스플레이, IT가전, 반도체 등”이라고 지목했다. NH투자증권은 올해 영업실적 전망치를 공시한 기업 중에서 매출 증가 기대주로 POSCO[005490], LG화학[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콜마[161890]에 대해 KB증권과 대신증권이 엇갈린 분석을 내놔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3일 KB증권은 한국콜마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만원을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 가 각 부문에서 고르게 외형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반면 대신증권은 한국콜마에 대해 업종 주가수익비율(PER) 하락을 반영해 기존 9만원에서 8만2000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작년 4분기 내수 매출은 좋았던 반면 중국 베이징 법인 매출은 추정치를 하회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베이징법인은 작년이 증설 첫해였던 만큼 올해는 고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했다. 박신애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콜마가 지난해 4분기에 국내 화장품과 제약부문, 북경콜마 등에서 탄탄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며 기대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렸다”며 “올해도 매출액이 작년보다 24% 증가한 8267억원, 영업이익은 22% 늘어난 894억원 등 우수한 실적을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올해 국내 화장품 매출액은 작년보다 17% 증가할 전망이고 제약부문은 증설과 생산 가능 제형 확대로 13%의 매출
[KJtimes=김승훈 기자]엔씨소프트[036570]에 대해 증권가에서 호평가가 나오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8일 NH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0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작년 4분기 깜짝 실적을 거뒀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의 분기 실적은 매출액 2846억원, 영업이익 101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 794억원을 크게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엔씨소프트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8만원, 인터넷 부문 최선호주로 꼽았다. 그러면서 이 회사가 작년 4분기 깜짝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로열티 수입도 커 올해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엔씨소프트의 작년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846억원, 10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36% 증가했다. 이는 대신증권의 직전 추정치인 2450억원과 760억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는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음에도 오히려 전일 주가는 조정을 받았지만 올해 한 해를 놓고 봤을 때 큰 폭의 실적 증가가 기대된다”며 “모
[KJtimes=김승훈 기자]첨단 섬유기업 효성[004800]에 대해 증권가에서 4분기 실적 예상치가 나쁘지 않아 이번에는 무난히 1조 원 영업이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전망이 나오고 있다.이 경우 이 회사는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하는 경사를 맞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일 재계오 증권가에 따르면 효성은 이르면 이번 주중 작년 4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경영실적이 기대를 모으는 이유는효성의 4분기 영업이익이 1987억 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되면 1957년 창사 이래 60년 만에 처음으로 꿈의 '1조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사실효성은 2016년 3분기에 사상 최대인 8013억 원의 누적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1조 원 고지에 재도전해왔다. 그 이전인 2015년에는 연간 영업이익 9502억 원으로 아깝게 '1조 클럽' 가입을 놓친 적이 있다.증권가에 따르면효성의 경영실적을 이끄로 있는 것은세계 1위 시장점유율을 자랑하는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다. 스판덱스는 늘어나는 섬유 소재로 스포츠용품 등에 주로 들어가는데 스판덱스를 앞세운 섬유 부문은 작년 1∼3분기에 2666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효성의 전체 실적을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가에 한바탕 소동이 일어나고 있는 분위기다. 일부 증권사들이 앞다퉈 ‘목표주가 거품 빼기’에 나서고 있는 까닭이다. 실제 증권사들의 기업목표 주가 하향조정이 잇따르고 있는 추세다. 23일 금융투자업계와 증권가에 따르면 증권가에선 오랫동안 목표주가를 새로 제시하지 않은 ‘묵은’ 리포트까지 찾는 등 전에 없이 분주한 모습이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모습 이면에는 금융감독원이 이달 초 증권사 리포트의 목표주가와 실제주가의 괴리율을 공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발표에 기인한다. 증권가 일각에선 금감원이 증권사 리포트의 목표주가와 실제주가의 괴리율 공시방안이 구체화하지는 않았지만 금융당국의 방침이 정해진 만큼 증권사들이 대응책을 마련에 나서고 있다는 시각이 강하다. 금융투자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에 대해 증권사들이 투자의견을 ‘매도’로 내야 할 만큼 전망이 어두운 종목에 대해 굳이 매도 의견을 내기보다 아예 리포트를 발행하지 않는 식으로 의견 표시를 하다 보니 목표주가와 실제주가의 차이가 커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면 증권가에는 어떤 분주한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을까. 일단 눈에 띄는 것은 전산프로그램 개발이다. 일례로 금
[KJtimes=김승훈 기자]KT&G[033780]에 대해 증권가에서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KB증권과 NH투자증권, HMC투자증권 등이 다소 부정적인 분석을 내놨다. 20일 KB증권은 KT&G의 목표주가를 기존 14만원에서 12만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지만 올해 실적 부진 등 불확실성 요소들이 존재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KT&G에 대한 목표주가를 16만원에서 13만2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는 견고한 실적을 이어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날 HMC투자증권은 KT&G의 목표주가를 13만6000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주가가 지난 몇 달 새 하락했지만 연초 이후에는 하방 경직성을 보인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KB증권은 올해 KT&G 실적에 대해 매출액 4조6696억원으로 작년보다 3.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조4541억원으로 1.1% 감소해 2014∼2016년보다 부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은 작년 4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경우 각각 1조1036억원, 3049억원을 보일…
[KJtimes=김승훈 기자]작년 외국인투자자들의 주식 패턴이 공개됐다. 이들은 아모레퍼시픽과 포스코, SK하이닉스 등 3개 종목을 집중적으로 매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3개 종목 순매수 규모가 3조6000억원을 넘어서며 전체 순매수 30% 육박해 눈길을 끌었다. 17일 금융투자업계와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해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1조3556억원어치를 매수했다. 또 POSCO와 SK하이닉스에 대해 각각 1조2410억원과 1조2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1조원어치 이상씩 매수한 셈이다. 이들 외국인투자자이 다음으로 외국인이 많이 산 종목은 ▲NAVER(8477억원) ▲한국항공우주(8304억원) ▲LG생활건강(7217억원) ▲고려아연(7053억원) ▲현대중공업(5381억원) ▲한화테크윈(4556억원) ▲아모레G(4467억원) 등이었다. 그러면 외국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판 종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 이들은 삼성전자와 현대모비스, 삼성생명 등을 대거 내다 팔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판 종목은 삼성전자다. 이들 외국인 투자자는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005935]를 각각 1조7612억원, 1조4124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이밖에 ▲
[KJtimes=김승훈 기자]코스닥시장이 1월 효과와 더불어 내달 초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모멘텀으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NH투자증권은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정보기술(IT) 관련주 등 16종목을 유망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코스닥의 2차 상승 목표를 650선으로 전망하고 IT 성장주, 저평가주, 공모가 하회주, 코스닥150 관련주를 매수하라고 추천했다. 예컨대 에스앤에스텍[101490], 유니테스트[086390], 아이원스[114810], 유니퀘스트[077500], 동화기업[025900], 뉴파워프라즈마[144960], 예스티[122640], 이수화학[005950], 오르비텍[046120], GRT[900290], 인크로스[216050], 앤디포스[238090], 뉴트리바이오텍[222040], 에스에프에이[056190], 우리산업[215360], SK머티리얼즈[036490] 등이 그것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연말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에 따른 심리를 선반영하고 있어 박스권 상단에서 환매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 가격 부담이 덜한 중소형주와 코스닥 시장의 종목별
[KJtimes=김승훈 기자]연말을 앞두고 국내 증시에서 이상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올 11월 이후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12종목 주가가 모두 시초가 밑으로 주저앉은 것이다. 상장된 새내기 종목들이 혹독한 신고식을 치르고 있는 셈이다. 실제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새내기 12종목 중 지난 2일 기준 공모가 대비 주가가 오른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와 두산밥캣[241560], 오션브릿지[241790],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 등 4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문제는 상장 후 첫 거래가인 시초가를 기준으로 하면 성적은 더 형편없다는 것이다. 일례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지난 2일 종가가 공모가를 웃돌았다. 하지만 시초가보다 뒷걸음질한 상태다. 다른 종목들도 이와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특히 사실상 올해 코스피 시장의 마지막 상장사인 핸즈코퍼레이션은 거래 첫날인 지난 2일 시초가보다 15.74% 급락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 증권가에선 이 같은 현상에 어떻게 진단하고 있을까.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으로 결론 난 미국 대선 쇼크에 최순실 사태에 따른 국내 정정불안이 가중되면서 특히 새내기주들에 대한 투자심리
[Kjtimes=김승훈 기자]유가증권시장에서 연말에 4% 이상 짭짤한 배당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은 어느 곳일까. 29일 NH투자증권은 여기에 해당하는 종목으로 6개를 선정해 눈길을 끌고 있다. 하이트진로[000080]와 한국전력[015760], NH투자증권, 두산[000150], 미래에셋대우[006800], 한국쉘석유[002960] 등이 그곳이다. 이는 지난 25일 종가 기준으로 코스피200 구성 종목의 배당수익률을 추정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최창규 NH투자증권 파생·헤지전략부장은 “특히 하이트진로의 연말 배당수익률은 4.7%로 전망됐다”며 “이들 6개 종목의 뒤를 잇는 고배당 기대 종목으로는 SK텔레콤[017670], 세아베스틸[001430], 대덕전자[008060], 기업은행[024110], 삼성카드[029780], KT&G[033780], GKL[114090], 두산중공업[034020], SBS[034120] 등”이라고 꼽았다. 최 부장은 “코스피200의 연말 배당수익률은 평균 1.72%로 추정되는데 최근 쟁점으로 떠오른 삼성전자[005930]가 핵심 변수”라면서 “삼성전자의 연말 배당금은 주당 2만5000원으로 추정되지만 3만원을 넘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