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에서 앞으로 주 60시간 일하는 사람의 비율이 5% 미만으로 낮춰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가 주 60시간 이상 일하는 사람의 비율을 지난해의 6.9%에서 내년까지 5%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목표로 내걸기로 했다는 이유에서다. 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총무성 조사에서 지난 2018년 현재 주 60시간 이상 일하는 사람의 비율은 농림업을 제외하고 전년보다 0.8%포인트 감소한 6.9%로 나타났으며 일본 정부는 장시간 노동이 이어지면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며 이 비율을 2020년까지 5% 이하로 낮춘다는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초과근무 시간으로 원칙적으로 한 달에 45시간, 연간 360시간을 상한으로 하지만 사전에 노사가 합의하면 사실상 무제한으로 가능했다. 하지만 지난 1일부터 시행된 ‘일하는 방식 개혁 관련법’에서는 초과근무 시간을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연간 720시간 이내, 한 달에 100시간 미만으로 제한됐고 이를 위반할 경우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30만엔(약 3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도를 통해 초과근무 상한 규제는 이번에 대기
[KJtimes=권찬숙 기자]이달부터 신일철주금에서 이름을 바꾼 일본제철 측이 한국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에 대해 "사법부의 판단은 당연히 승복할 수 없으므로 숙연하게 대응해 갈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2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하시모토 에이지(橋本英二) 일본제철 사장은 사명 변경을 앞두고 지난달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징용소송과 관련한 대응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하시모토 사장은 "이것은 정부 간에 해결이 끝난 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작년 10월 한국 대법원판결로 일제 강점기의 한국인 징용피해자 4명에게 1인당 1억원씩을 배상할 의무가 생겼지만 1965년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으로 개인 배상 의무가 없다는 일본 정부 입장에 따라 배상판결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하시모토 사장은 사명 변경 이유에 대해선 "일본의 대표적 제철회사로 세계에서 성장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KJtimes=김현수 기자]환경단체들이 방사능 오염 우려가 큰 일본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와 식탁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 검사 및 원산지 표시 제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일본산 농수산물의 방사능 오염실태 분석 결과도 발표했다. 2018년 일본 후생노동성의 농수축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에 따르면 야생육 44.6%, 농산물 18.1%, 수산물 7.0%, 기타 가공식품 2.5%에서 방사성물질인 세슘이 검출됐다. 산천어와 두릅에서는 각각 140㏃/㎏, 780㏃/㎏의 세슘이 검출됐으며 특히 멧돼지에서는 기준치(100㏃/㎏)의 52배인 5천200㏃/㎏의 세슘이 검출됐다. 이는 일본의 산과 바다, 강과 호수, 토양 등 방사능 오염이 여전히 심각하고 많은 동식물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이들 단체는 분석했다. 또 한국이 수입금지 조처를 내린 지역(후쿠시마,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치바, 미야기, 이와테, 아오모리) 수산물의 세슘 검출률은 7.3%로 나머지 지역(0.8%)보다 9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Jtimes=김현수 기자]한때 돈의 역사를 바꿀 것으로 기대됐던 '가상화폐' 발행이 고사 수준으로 쪼그라든 가운데 일찌감치 가상통화를 법률 용어로 도입한 일본이 고민에 빠졌다. 해킹에 의한 탈취 사건 등이 잇따르고 시장 자체도 가라앉으면서 ‘통화’라는 이름에 걸맞은 결제수단으로 부르기 어려운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관련법을 개정해 가상통화라는 명칭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일 전했다. 가상통화는 블록체인이라는 인터넷상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전자 데이터의 통칭이다. 일본에서는 자금결제법에 법률 용어로 도입됐다. 자금결제법은 은행 이외의 송금업자나 전자화폐업자 등의 송금·결제에 관한 사항들을 규정한 법이다. 금융청은 법률적으로도 새로운 개념인 '가상화폐'를 취급하는 업계를 규제하는 수단으로 이 법을 선택했다. 가상통화의 송금·결제 기능을 중시한 결과다. 가상통화 규제에는 주식이나 증권을 규제하는 금융상품거래법을 적용할 수도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한 자금결제법을 선택했다. 논의 과정에서 일부 관계자들은 "비트코인은 결제수단인가, 아니면 투자대상인가", 또는 "일본에서는 투자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 "투자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이 지상배치형 요격미사일 체계를 도입할 예정인 가운데 배치 후보지에 있는 대학 측이 졸업식에서 이와 관련한 언급을 사전에 차단하려 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1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아키타(秋田)공립미술대학 측은 지난달 21일 졸업식을 하루 앞두고 졸업생 대표가 요격미사일 체계인 '이지스 어쇼어' 배치 문제를 포함한 연설 원고를 보내자 해당 부분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당초 졸업생 대표의 연설 원고에는 "상설 요격미사일 기지의 배치계획이 부상하는 등 재학 중에 지역주민과 대학 관계자에게도 중요한 문제가 일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이러한 문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 졸업생 대표는 원고에서 배치 계획에 대한 찬반을 거론하지는 않지만, 대학 관계자는 전화를 걸어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 "생각해 주기 바란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졸업생 대표는 해당 부분을 삭제했다. 대학 측은 "삭제해 달라고는 말하지 않았고 본인이 판단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졸업생 대표에게는 "삭제를 요구한 것처럼 들렸다면 미안하다"고 사과했다. 이번 일이 언론의 관심을 받은 이유는 대학이 소재한 아키타 지역이…
[KJtimes=권찬숙 기자]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일본 편의점 업체들이 이용객 스스로 상품 가격을 계산하는 시스템 확대 도입에 나선다.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편의점업체 로손은 이용객이 스스로 상품 가격을 계산하는 '셀프 계산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달부터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기 시작해 오는 10월까지 1만4천여개에 달하는 모든 점포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는 점포 안에 있는 일부 계산대에서 이용객이 전용 단말기를 사용해 상품 바코드를 찍고 정산하는 것이다. 저출산 고령화로 일할 인력이 부족해지면서 편의점 가맹점에서 24시간 영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가운데 점포 운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일반 계산대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셀프 계산대'로 전환할 수 있어 해당 시간대에 근무하는 종업원 수 등에 맞춰 가맹점이 판단해 시스템을 바꿀 수 있다. 로손은 이렇게 해도 점포 안에는 종업원이 있기 때문에 방범 측면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용객이 직접 계산할 때는 현금을 사용하지 않는 캐시리스 결제에 한정된다. 로손은 이용객이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상품의 바코드를 읽어내 정산할 수 있는 시스
[KJtimes=이지훈 기자]오는 5월 1일 시작되는 나루히토(德仁·59) 새 일왕 시대의 이름이 될 연호(年號)가 '레이와'(令和)로 결정됐다. 연호는 군주제 국가에서 임금이 즉위하는 해에 붙이는 이름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1일 나루히토 새 일왕 즉위를 한 달 앞두고 열린 임시 각의(국무회의)에서 헤이세이(平成)를 대체할 연호로 레이와(令和)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헤이세이는 1989년 1월 부친인 쇼와(昭和) 일왕 별세 직후 즉위한 현 아키히토(明仁) 일왕의 연호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새 연호 결정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다. 올해 12월 만 86세가 되는 아키히토 일왕은 2016년 8월 고령을 이유로 큰아들인 나루히토 왕세자에게 자리를 넘기고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후 일본 정부는 새 연호 제정 등 아키히토 일왕 퇴위를 위한 준비 작업을 해왔다. 일본에서 '덴노'(天皇)로 불리는 일왕의 생전 퇴위는 제119대 고카쿠(光格) 이후 202년 만이다. 나루히토 새 일왕은 내달 1일 즉위한다.…
[KJtimes=김현수 기자]그룹 트와이스가 지난달 29∼30일 일본 도쿄돔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소속사 JYP엔터테인먼트는 트와이스가 이틀간 10만 관객을 동원했으며 공연장 주변은 기념품을 사려는 팬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고 1일 밝혔다. 1988년 개장한 일본 도쿄돔은 일본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홈구장으로 쓰는 초대형 공간이다. 롤링스톤스, 휘트니 휴스턴, 마돈나, 비욘세 등 세계적인 스타가 섰으며 일본 스타 가운데서도 스마프, 글레이, 하마사키 아유미 등 톱가수만이 공연을 펼친 곳이다. JYP는 "트와이스가 일본 데뷔 21개월 만에 도쿄돔에 입성했다는 건 현지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보여준다"고 전했다. 트와이스는 이번 공연에서 일본 첫 싱글 '원 모어 타임'(One More Time)을 시작으로 '하트 셰이커'(Heart Shaker), '댄스 더 나잇 어웨이'(Dance The Night Away) 등 히트곡을 선보였다. 가상현실(VR) 기술과 74m 길이 대형 발광다이오드(LED) 스크린을 활용한 연출은 트와이스의 표정과 역동적인 안무 하나하나를 잡아내 객석에 전달했다. 리더 지효는 "정말 크다. 이렇게 큰 곳을 트와이스와 원스(팬클럽
[KJtimes=김현수 기자]지난해 일본 국회를 통과한 '일하는 방식 개혁 관련법'이 1일부터 단계적 시행에 들어갔다. 도쿄신문과 NHK에 따르면 이 법은 시간외 노동의 상한 규제를 새롭게 도입한 것으로, 상한은 대기업의 경우 연간 최대 720시간 이내이고 한 달에 휴일 노동을 포함해 100시간 미만으로 정했다. 이를 어기면 징역과 벌금이 부과된다. 중소기업에도 1년 후인 내년 4월부터 같은 규제가 적용된다. 그러나 한 달간 시간외 노동 상한 100시간에 대해선 이미 지난해부터 과로사로 가족을 잃은 유족들로부터 비판이 제기됐다. 산업재해로 인한 과로사 인정 기준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시간 외 노동은 기업별로 사측과 노동자측이 협약을 맺어 가능한 것인데 사실상 기존에는상한 규제가 없었다. 법 시행을 앞두고 노동기준감독서에는 한 달간 상한을 99시간으로 두겠다는 기업의 협약 내용 신고가 잇따랐다. 새 법은 시간외 노동 상한을 휴일 노동을 포함해 월평균으로는 80시간 이내로 정했다. 일본의 노동문제 전문가들은 한 달에 80시간의 시간외 노동을 '과로사 라인(경계선)'으로 부르고 있다. 이 때문에 장시간 노동을 계속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새 법은…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내각부는 29일 40~64세 ‘히키코모리’ 인구가 전국에서 61만3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처럼 은둔형 외톨이로 불리는 ‘히키코모리’의 중장년층 실태가 일본 정부 통계로 발표된 것은 처음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히키코모리는 이제 젊은 층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면서 “조사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젊은 층과 중장년층을 합친 일본 전체 ‘히키코모리’ 인구가 100만명을 넘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내각부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40~64세 거주자가 있는 전국의 5000가구를 직접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조사원은 본인이나 가족으로부터 외출 빈도, ‘히키코모리’ 기간 및 동기, 생활 수준 등을 질문했다. 조사 결과 성별로는 남성이 ‘히키코모리’의 76.6%를 차지해 여성보다는 남성이 운둔형 외톨이로 전락할 가능성이 큰 사실이 확인됐고 ‘히키코모리’ 기간은 3년 이상~5년 미만이 21.3%로 가장 많았다. 7년 이상인 사람도 절반에 가까운 46.7%를 차지해 ‘히키코모리’의 장기화·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외톨이 생활을 하게 된 계기(복수응답)로는 퇴직을 꼽은 응답이…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소니가 베이징 스마트폰 공장 문을 닫는다는소식이 전해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회사의 연간 수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소니의 무선통신 분야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기간 대비 10% 줄어들었다. 29일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소니의 모바일 사업 재건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니 스마트폰 베이징 공장이 이달 말 생산을 중단하며 소니 측은 지난 20일 공장 근로자들의 임금 지급 계획을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타이스 보도에 따르면 소니는 공장이 문을 닫더라도 중국 시장 스마트폰 판매와 마케팅 활동, 포괄적인 서비스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으며 현재 베이징을 포함해 중국에 5개 공장을 운영 중에 있다. 한편 소니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성명을 발표했다. 발표의 주요 골자는 베이징 공장 생산 중단은 중국 내 다른 공장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을 것이며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중국 시장의 지위 또한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글로버 타임스는 보도를 통해 소니 대변인의 말을 인용, 그가 “소니는 중국과 태국에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태국 공장의 생산 계획에는 변화 없이 아웃소싱을 이어나갈 것”
[KJtimes=김현수 기자]“앞을 알 수 없는 20년 후에 일본에 가장 도움이 되는 회사를 만들고 싶다. 각각의 일본 기업들이 가진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차세대 이동서비스를 만들겠다.” 모네 테크놀로지의 미야카와 준이치 사장의 일성이다. 미야카와 사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포부를 밝혔는데 이처럼 최근 일본 기업들 사이에서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힘을 모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일본 회사들이 자율주행차와 관련 서비스 분야에서 미국의 구글이나 GM에 대항하기 위해 ‘일본 연합’을 만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29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은 도요타자동차와 이동통신사 소프트뱅크가 공동 출자해서 만든 자율주행차 서비스 회사 '모네 테크놀로지(MONET Technologies)는 전날 사업 발표회에서 혼다와 히노 자동차 등 자동차 제조사들과 자본·업무 제휴를 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혼다와 히노는 5월까지 각각 2억4995만엔(약 25억7000만원)을 모네 테크놀로지에 출자해 10%씩의 주식을 확보할 계획이며 모네 테크놀로지는 이번 제휴로 도요타뿐 아니라 혼다
[KJtimes=김현수 기자]“소니라는 회사를 더 빛나게 하는 체제가 갖춰졌다고 확신한다. 35년간 지낸 소니그룹에서 졸업한다.” 이라이 가즈오(58) 소니 회장이 오는 6월 퇴임하기로 했다. 히라이 회장은 일본 전자왕국 소니의 재건을 이끌었던 샐러리맨 출신이다. 29일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은 전날 소니에서는 히라이 회장이 오는 6월 18일부로 회장직에서 퇴임하고 비상근 고문(시니어 어드바이서)을 맡게 되며 소니는 중국 베이징의 스마트폰 공장을 이달 말 폐쇄하기로 했고 향후 태국에 있는 공장에 생산 역량을 집중해 수익 개선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히라이 회장은 대학 졸업 후 소니 뮤직의 전신인 CBS 레코드에 입사하며 평범하게 직장 생활을 시작했는데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며 두각을 나타낸 뒤 소니뮤직 국제업무 부서장, 소니 컴퓨터엔터테인먼트 미국지사장과 회장 등을 거쳐 2012년 4월부터 CEO를 맡았다. 그는 2017년 20년만에 최고인 연간 매출 8조5540억엔(약 87조9000억원)을 달성한 뒤 소니의 최고경영자(CEO) 자리에서 물러나 이후 대표권이 없는 회장을 맡아왔는데 그의 2017년도 연봉은 일본 내 상장사…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정부는 지난해 8월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안전 확보와 운행 관리에 관한 제도를 만들기 위해 민관협의체를 발족하기도 한 일본에서 현지 보험사들이 사고에 대비한 전용 보험 상품도 내놓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8일 NHK은 일본 정부가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도쿄카이조니치도(海上日動) 화재보험은 다음 달부터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한 보험 상품을 판매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NHK 보도에 따르면 일본에서 이런 자동차는 상용화를 위해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인데 이 보험사는 개발 과정의 시험비행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일찌감치 전용 보험 상품을 내놨으며 시험비행 중 수송하는 물건을 망가트리거나 사람이 다쳤을 경우 수억엔(수십억 원) 규모의 손해를 보상한다. NHK는 보도를 통해 하늘을 나는 자동차 상용화 시도는 미국과 중동의 두바이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택배업체 야마토 홀딩스가 미국 헬기 제조사 ‘벨 헬리콥터’와 함께 2020년대 중반 상용화를 목표로 ‘하늘을 나는 트럭’을 개발 중에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드론처럼 수직으로 이착륙하면서 공중에서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에서 난민 신청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그 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지난해 초부터 난민 인정 심사를 강화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27일 일본 법무성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난민으로 받아달라고 신청한 외국인은 1만493명이었는데 이는 전년 1만9629명과 비교해 47% 적은 수치로 일본에서 난민 신청자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8년 만의 일이다. 지난해 일본에서 난민 인정을 신청한 외국인들의 국적은 74개국이었으며 네팔 1713명, 스리랑카 1551명, 캄보디아 961명, 필리핀 860명, 파키스탄 720명 등 상위 5개국이 전체 신청자의 5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성은 이와 관련 지난해 1월부터 취업 목적의 ‘위장 신청’을 막기 위해 신청자의 취업을 규제하기 시작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놨다. 실제 일본 정부는 지난 2010년 3월 난민 신청 6개월 후부터 일률적으로 취업을 허용하는 제도를 도입한 뒤 취업 목적의 신청이 급증하자 지난해부터 신청 2개월 내의 간이심사제를 통해 명백하게 난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